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미술관의 공간역할과 의사소통행위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Role of Art Museum and the Feasibility of Communication Behavior
저자명 이근우(Geunwoo Lee) ; 박상일(Sangil Park)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4 No.07 (2019-12)
페이지 시작페이지(233)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하버마스; 미술관; 미술관의 공간; 소통; 의사소통행위//Habermas; Art Museum; Museum space; Communication; Communicative Action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미술관은 예술작품을 관람하는 시각적 감상의 공간과 함께 ‘소통의 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현대사회의 미술관은 수집, 보존, 연구, 전시의 전통적 기능에서 교육과 체험의 기능을 활성화한 확장된 기능으로 변화하였다. 확장된 기능으로 인하여 미술관은 복합문화공간으로 변화하며, 공간과 역할의 변화도 가져오게 되었다. 변화하는 미술관의 공간구분은 전시 공간, 교육 공간, 업무 공간, 공공 공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미술관은 다양한 공간 활용을 통하여 관람객의 요구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미술관의 공간 활용을 함에 있어, 관람객을 위한 공간의 역할이 무엇인지, 각각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통행위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향후 관람객을 위한 공간의 구성과 활용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연구방법) 미술관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통행위의 주체와 유형을 알아보고, 하버마스의 소통행위이론의 타당성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하였다. 미술관 각각의 공간역할에 적용하여 각각의 공간에서 나타나는 타당성 기반의 소통행위에 관한 관계성을 파악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미술관의 공간은 의미전달을 위한 전시 공간, 의미생산을 위한 교육 공간, 운영지원을 위한 업무 공간,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공공 공간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역할을 가진 공간들은 그 안에서 관람객과 의사소통행위를 통해 관람객은 만족감을 느끼게 되는데, 관람객에게 만족감을 주기 위해 미술관은 각각의 타당성을 기반으로 관람객과의 소통행위를 해야 한다. 전시 공간 의사소통행위의 기반이 되는 타당성은 객관적 진리성과 사회적 정당성, 교육 공간 의사소통행위의 기반이 되는 타당성은 객관적 진리성, 업무 공간 의사소통행위 기반이 되는 타당성은 사회적 정당성, 공공 공간 의사소통행위 기반이 되는 타당성은 주관적 진실성으로 파악되었으며, 타당성 가운데 이해가능성은 모든 공간에 공통으로 기반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오늘날 대중은 미술관을 통한 문화적 향유와 삶의 질적 향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는 미술관에서 발생하는 소통행위를 통하여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미술관은 기능 확장으로 인하여 많은 변화를 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미술관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통행위의 변화는 미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대사회 미술관은 시각적 볼거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희의 공간, 즉 복합 문화시설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 이로 인해 소통행위의 중요성은 더 커질 것으로 본다. 따라서 앞으로 미술관에서 발생하는 소통행위에 관하여 각각의 공간역할과 함께 보다 나은 소통행위의 질적 향상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Today, art galleries are turning into a "communication hall" with a space of visual appreciation for artworks. Art galleries in modern society have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functions of collection, preservation, research and exhibition to the expanded functions of education and experience. Because of its extended functions, art museums have been transformed into complex cultural spaces, and they have also brought about changes in space and role. The space division of changed art museums can be divided into exhibition spaces, education spaces, work spaces, and public spaces, and art galleries make efforts to improve visitors' needs and quality of life through various space utilization.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us organize and utilize the space for visitors in the future through the study on the role of space for visitors and the communication behavior that occurs in each space.(Method) The main body and type of communication behavior that occurs in the museum space were investigated and the validity of the theory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Harbormas was studi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relevance of feasibility-based communication behavior in each space was identified and concluded by applying the space role of each museum.(Results) The space of an art museum appears as an exhibition space for meaning transfer, an education space for meaning production, a work space for operational support, and a public space where interaction takes place. Spaces with such a role will satisfy visitors through their communication with them, and art galleries must communicate with visitors based on their respective validity to give them satisfaction. The validity on which the basis of wartime spatial communication behavior is found to be the objective truthfulness, social justification, and validity on which educational spatial communication conduct is based is objective truthfulness, the validity on which work space communication activity is based has been identified by subjective truthfulness, and understandability among the validity is found to be common in all spaces.(Conclusions) Today the public calls for cultural enjoyment and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through art galleries, and we believe that these demands can be addressed through communication in art galleries. Art galleries are changing a lot due to their expanded function, but most of the changes in communication in museum space are thought to be slight The Museum of Contemporary Social Art will be established as a space of diverse entertainment, or complex cultural facilities, as well as visual attractions.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havior will grow. Therefore, I believe that there should be a qualitative improvement in better communication behavior along with each other's space roles regarding communication behavior in art museums in the future.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현대 미술관 스페이스 프로그램의 변화와 공간적 대응에 관한 연구
박종구(Park, Chong-Ku) ; 이종협(Lee, Jong-Hyub) ; 안은희(An, Eun-Hi)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2호 (201805)
미술관 전시공간에 사용되는 공간유형
백용운(Baek Young-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미술관
김수정(Kim, Su-Jung) ; 최샛별(Choi, Set-Byol)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48호 (201411)
미술관 전시공간의 유형과 그 해석
백용운(Baek Young-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1 (201001)
동선연구와 미술관 전시공간
백용운(Baek Young-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
SANAA가 설계한 미술관에 나타나는 공간구성요소의 특성 연구
이현서(LEE Hyunseo) ; 허범팔(HUR Bumpal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9 No.02 (201406)
전시프로그램을 고려한 우리나라 박물관과 미술관의 스페이스 프로그램 비교 연구
서유석(Sea You-S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10 (20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