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1인 가구의 스마트 홈 인터랙션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Home Interaction in Single-Person Household
저자명 강상목(Sangmok Kang) ; 이재규(Jaekyu Le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4 No.07 (2019-12)
페이지 시작페이지(387) 총페이지(18)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1인 가구; 스마트 홈; 라이프 스타일; 인터랙션 디자인; 공간 디자인//Single-person household; Smart home; Lifestyle; Interaction design; Spatial design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생활 방식 변화로 1인 가구의 증가율은 전 연령대에서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매년 꾸준히 늘어남에 따라 다가올 미래에 1인 가구가 거주 시장의 트렌드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 연구를 통해 도출한 1인 가구 공간특성과 스마트 홈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을 바탕으로 사례분석을 통해 계획 경향을 파악하고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1인 가구와 스마트 홈 및 인터랙션 디자인의 개념 정리와 다양한 사례 조사를 위해 단행본·학위논문·학술지 등의 문헌연구 및 인터넷 자료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이론적 고찰에 활용한다. 둘째,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1인 가구의 개념과 주거특성에 대해서 정리하고, 이를 중심으로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을 통해 스마트 홈에 적용할 수 있는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도출한 결과에 따라 1인 가구의 스마트 홈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을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내용을 기준으로 사례 분석 결과를 통해 스마트홈의 인터랙션 디자인을 고려한 스마트 홈 방향성을 모색한다. (결과) 1인 가구와 스마트 홈 특징에 맞춰 인터랙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여덟 가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 사례에서 소형화되는 주거환경을 개선한다는 목적성을 제시하고 사용자와 공간 서비스의 관계를 발전하기 위해서 모듈식 가구 또는 인공지능 플랫폼, 디바이스 등을 이용하여 공간의 확장성, 변동성, 다양성, 연결성을 극대화하였다. 둘째, 조사한 모든 사례에서 DIS특성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이는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주거 공간의 변모를 통하여, 정보 제공과 공간 이용의 효율성을 증대시켰다고 볼 수 있다. 셋째, HCA는 DIS와 밀접한 관계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 니즈를 파악하여 공간들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거주자의 건강과 편의성에 초점을 맞췄다고 볼 수 있다. 넷째, NFF, SMR 특성은 비교적 낮게 보이며. 이는 모든 스마트 홈에 구축되기보다는 각각 특정 목적을 위해 제작된 스마트 홈이였다. (결론) 마지막으로 인터랙션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표는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과 체험을 주는 것이다. 스마트홈 시장에서 인터랙션 디자인이 효율적이라는 것만으로는 시장에서 성공할 수 없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의 생활 방식과 스마트홈 요소에 맞춘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을 제시하여 다가올 미래 주거환경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있어 기준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요약2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growth rate of single-person households continues to increase in all age groups and is expected to become a trend in the residential market in the coming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lanning trends through case analysis and to present design direction based on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mart home interaction designs derived from literature research. (Method) First, the concept theorem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mart home and interaction design, and the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net data of published books, academic papers, etc. were investigated for various case studies, and used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is research. Second, the previous study is analyzed to summarize the concept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o derive interaction design characteristics that can be applied to smart homes through the lifestyle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ird, the smart home interaction design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re consider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the smart home direction is explored considering the interaction design of smart homes. (Results) Eight cases were analyzed to identify interaction characteristics in line with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mart home features.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miniaturized in most cases, was to maximize the scalability, variability, diversity, and connectivity of space by using modular furniture or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s, devices, etc. to develop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and space services. Second, in all the cases investigated, DIS characteristics were highest, which can be seen as an increase in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provision and use of space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residential space as network technology develops. Third, HCA appears to be closely related to DIS. This can be seen as focusing on the health and convenience of residents, the factors that create space by identifying the lifestyle needs of a single person household. Fourth, the NFF and SMR characteristics appear relatively low. Rather than being built on all smart homes, each was built for a specific purpose. (Conclusion) Finally, the ultimate goal of interaction design is to give users a better experience. Interaction design cannot succeed in smart home markets just because it is efficient. However, this study aims to present interaction design characteristics tailored to the lifestyle and smart home element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us laying the significance of the criteria for the direction of the future residential environment.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국내 스마트 홈 관련 제도 개선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황은경(Hwang, Eun-Kyoung) ; 이종호(Lee, Jong-Ho) ; 김수암(Kim, Soo-Am) ; 양현정(Yang, Hyun-Jung) -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 Vol.13 No.6 (201912)
거주자 UX(User Experience) 분석을 통한 스마트홈 단말기의 UXD(User Experience Design) 연구
김성진(Seongji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4 No.01 (201902)
기술사회의 라이프스타일 기반 스마트 주거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문보경(Bokyung Moon) ; 김주연(Jooyun Kim) ; 안진근(Jinkeun Ahn) ; 황용섭(Yongseup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0 No.02 (201504)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사물인터넷(IoT)기반 스마트 홈 기술 적용사례 분석
이준석(Lee, Joonseok) ; 남경숙(Nam, Kyung-Sook)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18권 1호 (2016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공기정화식물을 적용한 소형 공기청정기의 성능평가 및 효과에 대한 연구
조진균(Jinkyun Cho) ; 장승민(Seungmin Jang) ; 신철웅(Cheolwoong Shin) ; 박병용(Beungyong Park) - 설비공학논문집 : Vol.34 No.06 (202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