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단지형 대학 기숙사의 거주환경요소가 기숙사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Dormitory Life
저자명 백수연(Baek, Sooyeon) ; 최재필(Choi, Jaepil)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36 No.01 (2020-01)
페이지 시작페이지(3) 총페이지(12)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기숙사생활 적응; 거주환경요소; 적응 척도; 대학 기숙사; 단지형 기숙사//adaptation; environmental factors; adaptation scale; university dormitory; complex type dormitory
요약1 국내 대학 기숙사는 1970년대 양적 성장을 추구하던 시기를 지나 1990년대부터 질적 성장을 추구해왔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질적 성장을 위한 물리적 계획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며, 기존의 변화 역시 기숙사 거주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된 바 없다. 따라서 질적 성장에 의한 기숙사환경 변화를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질적 성장의 방향을 모색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숙사생활 적응’에 집중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분석하여 기숙사 거주자의 환경적응을 돕고 대학 기숙사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세 단계에 걸쳐 진행되었다. 우선 독립변수인 단지형 대학 기숙사의 거주환경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분석대상지인 서울대학교 관악학생생활관에 적용하였으며 종속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기숙사생활 적응 척도를 개발하였다. 두 번째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거주중인 대학 기숙사의 거주환경요소와 이전 거주지의 거주환경요소, 기숙사생활 적응의 세 가지 요인점수를 확보하였다. 세 번째로는 통계적 분석을 통해 각 거주환경요소가 기숙사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지 판별하였다.
요약2 Dormitories of Korean university are planned to pursue qualitative growth after a period of quantitative growth in the 1970s. However, since
the 1990s, the physical plan for qualitative growth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nd the effects of these changes on dormitory residents has
not been ver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dormitory life adaptation and to provide a
basis for qualitative growth of university dormitories to help dormitory residents adapt to the environ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First, the element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dormitory complex,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were derived. The
dormitory life adaptation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dependent variable. Secondl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current dormitory and previous residence and three elements of dormitory life adaptation; ‘acceptance of change’,
‘familiarity’, and ‘anxiety’. Thir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each factor influenced dormitory life adaptation.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대학기숙사의 공용 및 개인생활공간 계획
김정은 ; 김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2 n.1(통권 96호) (2013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대학기숙사 공적 공간내 사적영역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이금령(Li, Jin-Ling)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30 No.3 (201906)
대학기숙사 공용공간 계획을 위한 사용자 만족도 및 선호도 조사
김수현(Kim, Soo-Hyun) ; 전민정(Jeon, Min-Jeong) ; 송남남(Hong, Nam-Nan) ; 김미경(Kim, Mi-Kyung)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0권 2호 (201810)
대학기숙사 건축에 있어서 공유공간에 관한 사례연구
안진오 ; 제해성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 v.7 n.4(통권 26호) (200708)
[논문] 대학기숙사의 시설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정훈 ; 강만호 ; 주석중 - 교육시설(한국교육시설학회지) : v.12 n.5 (200509)
청년 쉐어하우스의 공유공간 특성 연구
박정은(Park, Jung-eun) ; 이현수(Lee, Hyun-soo)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0권 1호 (2018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