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동주택 사적 외부공간의 계획적 특성 /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Private External Space in Multi-family Housing
저자명 김현주(Kim, Hyun-Ju)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36 No.02 (2020-02)
페이지 시작페이지(13) 총페이지(12)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유럽; 공동주택; 사적 외부공간; 발코니; 로지아; 테라스; 매개공간//Europe; Multi-family Housing; Private External Space; Balcony; Loggia; Terrace; Intermediate Space
요약1 환경의 변화, 사회적 변화, 인구구조의 변화는 공동주택 설계에서 외부와 내부의 관계,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관계를 새롭게 풀어내고 규정하여 양극간의 적절한 조율을 이끌어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매개공간으로서의 사적 외부공간에 대한 논의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본 연구는 유럽에서 2000년 이후 지어진 공동주택 사례분석을 통해 사적 외부공간의 계획적 특성을 매개공간의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첫 번째, 공동주택의 도시계획적 유형과 단위세대의 사적 외부공간과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대상 사례들을 블록형 및 블록외연형, 선형, 점형으로 분류한 후, 개인영역-공동영역-도시영역의 위치와 성격, 동선구조, 사적 외부공간의 향과 주거 내부공간과의 연결성 등을 분석하여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블록형 및 블록외연형, 선형의 공동주택에서는 사적 외부공간이 2개소로 계획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1개소는 도로가 있는 도시영역에 배치되었고, 다른 1개소는 블록 내부 중정이나 주동 사이 외부공간에 계획되었다. 여기에 배치된 사적 외부공간은 주로 단위세대 내부의 공동영역(거실, 주방, 식사, 다기능실 등)과 연결되게 배치되어 이웃 간의 교류를 유도하였다. 각 사적 외부공간에서 물리적 또는 시각적으로 연결되는 내부공간들의 개수는 대부분 5개소 이상으로 내부와의 높은 연계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향은 남향위주라기 보다 건물매스의 도시맥락상의 배치에 따라 달라진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점형의 공동주택들은 명확하게 구분되는 (거주자들만의) 공동 외부영역이 없기 때문에 사적 외부공간이 도시영역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양상을 보였다. 사적 외부공간이 단위세대의 거의 모든 내부공간에 면하여 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두 번째,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부와 외부의 매개공간, 사적과 공적 / 개인과 공동의 매개공간, 매개공간의 정체성이라는 세 개의 범주로 구분하여 사적 외부공간의 계획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1) 내부와 외부의 매개공간 - 일상을 풍요롭게 하는 내부의 연장공간 대부분의 사례에서 수려한 원경, 주변 녹지로의 전망, 자연채광과 같은 주변 환경의 자산을 거주자가 최대한 많이 지각할 수 있도록 각각의 주변 맥락에 적합하게 공간의 방향, 위치, 위요감의 강도 등을 계획하여 휴식, 취미, 놀이 등 일상생활에 풍부한 경험을 가져다주는 생활의 연장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몇몇 사례에서는 외부에서 내부로, 내부에서 외부로의 공간적 전이의 단계가 세분화될 수 있도록 하나의 발코니 영역이 위요감의 차이가 있는 2개의 세부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 사적과 공적 / 개인과 공동의 매개공간 - 심리적 완충 공간 또는 개성의 표출 공간 거주자들의 공동 외부 공간에 면하여 계획된 발코니는 위요되고 부분적으로 시선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인해 심리적 완충공간으로 격상되어 강요가 아닌 자연스러운 이웃과의 교류를 가능하게 하였다. 반면에 도시 도로변으로는 거주자가 도시의 활기를 체험할 수 있으면서 건물 외관의 주요 요소가 될 수 있도록 조형성을 부여하였다. 특히 점형 공동주택에서는 사성과 공성이 충돌하는 사적 외부공간이 거주자의 생활방식과 취향을 과감하게 드러낼 수 있는 장소로 해석되고 있었다. 즉, 물리적 조형성과 거주자들의 행위와 소품들이 하나가 되어 도시민의 일원으로서의 정체성을 표출하는 공간으로 계획되었다. (3) 매개공간의 정체성 - 가변성을 가진 생활공간으로서의 입체적 파사드 특히 점형 공동주택들 중 파사드 자체가 입체적으로 구성되어 사적 외부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례들은 독특한 조형성과 함께 다양한 사이즈, 다양한 위요감, 다양한 향을 가진 공간들로 세분화되었거나, 또는 넉넉한 폭을 가진 중성적 성격으로 내부의 모든 실에서 접근할 수 있어서 다기능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가변성을 가지고 있었다.
요약2 This study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external space planning in multi-family hous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ood case
built after 2000 in Europe. First, the cases were categorized into block or block perimeter, linear and point typ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building in urban context and the location of private external space. By block or block perimeter and linear type, private
external spaces are planned in the inner courtyards or open space between buildings used as common space for residents, inducing
communications between neighbors. And the direction of private external space depends on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 mass in urban
context. In the classification as point type, there are many cases, where private external spaces are arranged in all directions, connected
almost all interior spaces. Secon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planned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external space are derived by dividing
it into three categories: intermediated spa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intermediate space between private and public /individual and
collective space and the identity of the intermediate space. (1) In most cases, direction, size of enclosed area and location of private extern
space is designed to fit the surrounding context, so residents can perceive as much of the asset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possible,
and it can be used as an extended area of living space. In another cases, it is divided into various sub-areas to experience the spatial
transition from inside to outside or vice versa. 2) The private external space, which is placed in a courtyard or in a collective open space, is
partially enclosed and blocked, allowing interaction with the neighbors without pressure. Along the street, they are designed to allow residents
to experience the vitality of the city and to be formative element of the facade, which could confidently reveal the lifestyle and taste of
residents. 3) By some of point types, which facade is three-demensional layer as a habitable external space, the private external space is very
flexible for use. This intermediate space is composed of diverse spaces for various needs, or it has generous size with positional conditions
connected with all interior spaces to be used multi-functional.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현상학이 건축이론에 미친 영향과 현상학적 건축설계 방법론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광배(Kim Kwang-B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12 (200712)
공동주택 외부공간과 커뮤니티 활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형언 ; 이동훈 ; 손동욱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1(통권 제61호) (201402)
[논문] 세즈마 카즈요의 ‘21세기 미술관’에 표현된 공간형식과 프로그램
송정화 ; 임채진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13호 (200508)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