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가상현실 기반 3차원 공간에 대한 감정분류 딥러닝 모델 / Emotion Classification DNN Model for Virtual Reality based 3D Space
저자명 명지연(Myung, Jee-Yeon) ; 전한종(Jun, Han-Jong)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36 No.04 (2020-04)
페이지 시작페이지(41) 총페이지(9)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전산
주제어 가상현실; 감정; 뇌파; FFT; 딥러닝 // Virtual Reality(VR); Emotion; Electroencephalography(EEG); Fast Fourier Transform(FFT); Deep Learning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DNN (Deep Neural Networks) 모델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특히 VR (Virtual-Reality) 기반의 3차원 디자인 대안에 대한 뇌파 (EEG) 기반의 감정을 분류하는 것이다. 사용자의 감정을 측정하기 위해 4 가지 유형의 VR 공간이 구축되었으며, 각 자극에 대한 뇌파가 측정되었다. EEG 데이터에 기초한 정량적 평가에 더하여, VR 자극 사이의 차이가 있는지를 정성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설문이 수행되었다. 정규화 순위 분석 결과 계획 유형 간에 유의 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주관적 설문지의 값을 DNN 모델의 라벨링 데이터로, 수집된 EEG 데이터를 모델의 특징 값으로 사용했다.??모델 구축 및 훈련에는 Google Tensor Flow를 사용했다. 결과적으로 개발된 모델의 정확도는 98.9 %로 이전 연구보다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을 활용하여 VR 기반 3차원 설계 대안에 대한 예비사용자의 감정파악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 of the Deep Neural Networks(DNN) model to classify user’s emotions, in particular
Electroencephalography(EEG) toward Virtual-Reality(VR) based 3D design alternatives. Four different types of VR Space were constructed to
measure a user’s emotion and EEG was measured for each stimulus. In addition to the quantitative evaluation based on EEG data,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qualitatively check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VR stimuli. As a resul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lan types according to the normalized ranking method. Therefore, the value of the subjective questionnaire was used as
labeling data and collected EEG data was used for a feature value in the DNN model. Google TensorFlow was used to build and train the
model. The accuracy of the developed model was 98.9%, which is higher than in previous studies.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VR and Fast Fourier Transform(FFT) processing would affect the accuracy of the model, which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classify a
user’s emotions toward VR based 3D design alternatives by measuring the EEG with this model.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가상현실을 활용한 공간에서의 뇌파 측정과 스트레스 변화량 분석
김선욱(Kim, Sun-Uk) ; 강세연(Kang, Se-Yeon) ; 지승열(Ji, Seung-Yeul) ; 전한종(Jun, Han-J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5 No.08 (201908)
가상현실 기반 3차원 공간에 대한 감정적 반응
명지연(Myung, Jee-Yeon) ; 전한종(Jun, Han-J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5 No.12 (201912)
초기설계 단계 사용자의 감정 인식을 위한 뇌파기반 딥러닝 분류모델
장선우(Chang, Sun-Woo) ; 동원혁(Dong, Won-Hyeok) ; 전한종(Jun, Han-J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12 (201812)
VR과 EEG를 이용한 천장 높이와 공간 체류 시간에 관한 연구
염상훈(Youm, Sang Hoon) ; 이전윤(Lee, Jun Yoon) ; 최유림(Choi, Yoo Rim)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2 (2021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우울증상 치유를 위한 실내 휴게공간 환경색채모델 연구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30 No.3(통권 146호) (202106)
건축·공간디자인 분야 EEG 실험연구의 통합적 경향 분석
김상희(Kim, Sang-Hee) ; 추승연(Choo, Seung-Ye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6 No.10 (20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