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명 |
근린재생을 위한 지역연계형 학교시설 계획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Planning Direction of Local Connected School Facilities for the Neighborhood Regeneration |
저자명 |
김지수(Kim, Ji-Su) ; 유해연(Yoo, Hae-Yeon) |
발행사 |
대한건축학회 |
수록사항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36 No.05 (2020-05) |
페이지 |
시작페이지(71) 총페이지(12) |
ISSN |
1226-9093 |
주제분류 |
계획및설계 / 이론 |
주제어 |
학교시설; 지역연계; 학교복합화; 공간구성; 근린재생 // School Facility; Regional Connected; School Complex; Space Composition; Neighborhood Regeneration |
요약1 |
최근 학교의 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지역 내 학교시설에 대한 활용방안과 리모델링 방향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도시재생활성화 지역 내 학교의 경우, 지역의 공유자산으로서 지역 거주민들이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이 모색되고 있다. 공간 운영 방식은 물론 지역사회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문화프로그램, 평생교육프로그램, 주차장, 체육시설 공유, 옥상정원활용 등 지역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 활용 및 적용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활성화지역내 근린재생 또는 주거지 재생을 위한 학교시설의 개선방향과 프로그램 운영방안을 조사하고, 이에 적합한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개선방향을 기반으로 실제 계획안의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지역 내 공간 복지 로드맵으로서의 방향도 제안할 것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학교시설의 지역사회 커뮤니티 공간의 역할이 강조되기 시작한 제7차 교육과정 이후의 국내의 교육과정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국내의 사례를 통하여 학교시설의 변화, 지역연계성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일본 관동지방의 사례와 비교하여 학교시설의 공간 구성 및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국내 학교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한국과 일본의 지역연계형 교육시설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둘째, 한국의 교육 과정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셋째, 학교시설 복합화하여 운영하고 있는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넷째, 정책과 사례분석을 통해 한국의 지역연계형 학교시설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이를 활용한 계획안을 제안하였다. |
요약2 |
As the number of students continues to decline, alternatives to regional linkage and utilization of school facilities in the region are being sough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rograms and remodeling directions for school facilities for neighborhood regeneration in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areas. To this end, first,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educational courses and policies in Korea. Second,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combined operation of school facilities were analyzed. Third,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local-linked school facilities were derived through policies and case analysis. Finally, the direction of the plan considering this was proposed. |
소장처 |
대한건축학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