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근린재생을 위한 지역연계형 학교시설 계획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Planning Direction of Local Connected School Facilities for the Neighborhood Regeneration
저자명 김지수(Kim, Ji-Su) ; 유해연(Yoo, Hae-Yeo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36 No.05 (2020-05)
페이지 시작페이지(71) 총페이지(12)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이론
주제어 학교시설; 지역연계; 학교복합화; 공간구성; 근린재생 // School Facility; Regional Connected; School Complex; Space Composition; Neighborhood Regeneration
요약1 최근 학교의 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지역 내 학교시설에 대한 활용방안과 리모델링 방향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도시재생활성화 지역 내 학교의 경우, 지역의 공유자산으로서 지역 거주민들이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이 모색되고 있다. 공간 운영 방식은 물론 지역사회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문화프로그램, 평생교육프로그램, 주차장, 체육시설 공유, 옥상정원활용 등 지역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 활용 및 적용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활성화지역내 근린재생 또는 주거지 재생을 위한 학교시설의 개선방향과 프로그램 운영방안을 조사하고, 이에 적합한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개선방향을 기반으로 실제 계획안의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지역 내 공간 복지 로드맵으로서의 방향도 제안할 것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학교시설의 지역사회 커뮤니티 공간의 역할이 강조되기 시작한 제7차 교육과정 이후의 국내의 교육과정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국내의 사례를 통하여 학교시설의 변화, 지역연계성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일본 관동지방의 사례와 비교하여 학교시설의 공간 구성 및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국내 학교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한국과 일본의 지역연계형 교육시설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둘째, 한국의 교육 과정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셋째, 학교시설 복합화하여 운영하고 있는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넷째, 정책과 사례분석을 통해 한국의 지역연계형 학교시설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이를 활용한 계획안을 제안하였다.
요약2 As the number of students continues to decline, alternatives to regional linkage and utilization of school facilities in the region are being sough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rograms and remodeling directions for school facilities for neighborhood regeneration in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areas. To this end, first,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educational courses and policies in Korea. Second,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combined operation of school facilities were analyzed. Third,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local-linked school facilities were derived through policies and case analysis. Finally, the direction of the plan considering this was proposed.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학교건축 계획방향에 대한 기초연구
송병준 ; 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0 n.1(통권 84호) (2011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