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국립서울대학교의 종합화와 캠퍼스 계획론의 도입, 1946-1975 / The Centraliz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by Campus Planning, 1946-1975
저자명 성나연(Sung, Nayon) ; 전봉희(Jeon, BongHee)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ol.36 No.06 (2020-06)
페이지 시작페이지(107)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역사
주제어 서울대학교; 캠퍼스 계획; 도시 계획; 미국화; 지역화; 냉전 // Seoul National University; Campus Planning; Urban Planning; Americanization; Localization; Cold War
요약1 이 연구는 서울대 종합캠퍼스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조성되었는지 살펴보고, 그 건축사적 의의를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대의 종합화는 일제시기의 제국대학을 모태로 한 서울대가 미국식 종합대학으로 전환되기 위한 공간차원의 노력이었는데, 2차 세계대전 이후의 급격한 대중화를 겪으며 팽창하는 미국의 대학 캠퍼스 계획론을 도입하였다. 서울대 종합캠퍼스 계획과정은 동시대 미국의 문화적 영향 아래에서 도시계획적인 원리를 적용하여 수립되었으며, 건물 구축 중심의 논리에서 외부공간 조직 중심의 논리로 계획의 시점이 전환되었고, 지역에 대한 합리적인 분석과 전통수법의 기용을 통해 부지에 대한 특수한 해법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요약2 To create a new nation and society, Seoul National University(SNU) was established by combining former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with ten public colleges in 1946 under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However, the SNU failed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 reform because the human resource and the space of the former system remained unchanged. After the Korean War, the ‘Minnesota Project’, an American education aid has led SNU to be rebuilt and turned into an American-oriented education system. The SNU Centralization Plan was promoted to complete this transformation. This plan required a specific spatial format called the campus, which emerged from the American cultural background. Under the U.S. influence over South Korea during the Cold War, several planners made proposals to create an American-style campus. The first campus plan in 1958 was proposed by Yoon Chang-sup, an architecture professor at SNU, who has studied abroad in the U.S. His initial plan to pursue the well-organized outer space with proper scale, which was influenced by post-WWII urban planning strategy, was not accepted by the realistic conditions of SNU and the perspectives of local architects. But his ideas were eventually implemented during a final campus plan proposed by an American planner DPUA in 1971. The final plan was developed with the idea of the locality elements of Korea. SNU's campus planning process was an important event that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modern Korean university space as it began to organize outer space rather than to use just building. This suggested modern Korean universities a new view that life in outer space is as important as the life in the classroom.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1930년대 말 서울의 양관에 대한 연구
허유진(Huh, Yoo-Jin) ; 우동선(WooDon-S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7 (201307)
[논문] 팔작지붕과 북한의 현대 조선식 건축: 선택과 배제
박동민(Park, Dongmin)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8 No.2(통권 123호) (201904)
미네소타 프로젝트
박동민(Park, Dongm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09 (201809)
1950-60년대 한국건축의 기술적 담론에 관한 연구
정인하(Jung In-H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1 (200601)
[논문]덕수궁 정관헌(靜觀軒)의 원형, 용도, 양식 재고찰
허유진(Huh, Yoojin) ; 전봉희(Jeon, BongHee) ; 장필구(Jang, PilGu)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7 No.3(통권 118호) (201806)
한국의 건축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적 연구
전봉희(Jeon Bong-Hee) ; 우동선(Woo Don-Son) ; 이우종(Lee Woo-J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3 (200403)
2025년 의무화 로드맵에 따른 공공시설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 시장 수용성
이승민(Lee, Seung-Min) ; 김진호(Kim, Jin-Ho) ; 신광수(Shin, Gwang-Su) ; 김의종(Kim, Eui-Jong) -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 Vol.12 No.6 (201812)
[논문] 1950년대의 한국에서 신축 정부청사 관련 문건에 나타난 "현대식"의 의미
이수민(Lee, Sumin) ; 우동선(Woo, Don-Son)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7 No.5(통권 120호) (201810)
[논문] 건축가 김정희와 평양시 복구 총 계획도: 신화와 역사
박동민(Park, Dongmin)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7 No.2(통권 117호) (201804)
[논문] 수도 서울에서 정부종합청사의 입지와 건립
이수민(Lee, Sumin) ; 우동선(Woo, Don-Son)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7 No.2(통권 117호) (201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