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건축가 손진의 유치원 연작에서 나타나는 내부 광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rnal Plaza in the Kindergarten projects of Jean Son
저자명 전연재(Joen, Yoenja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5 No.01 (2020-02)
페이지 시작페이지(85)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유치원; 교육시설; 레지오 에밀리아 어프로치; 내부 광장; 도시성 // Kindergarten; Educational Facility; Reggio Emillia approach; Plaza; Urbanity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유아 교육 공간은 유아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유아 교육 공간은 지극히 단조롭고 폐쇄적인 구성을 보이며, 이와 같은 환경에서는 유아들의 창의성 및 사회성 발달을 기대하기 어렵다. 다행히도 최근 민간 유치원을 중심으로 새로운 교육 공간 구성의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두드러진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 건축가 손진의 유치원 작업들이다. 해당 건축가의 유치원 연작에 관한 연구를 통해 차별화된 공간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미래 유아 교육 공간 계획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건축가 손진의 네 개의 유치원 프로젝트를 그 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도면 및 사진 자료의 분석, 건축가 인터뷰, 공간 답사를 바탕으로 기존 유치원 표준설계 매뉴얼과의 비교, 각 프로젝트들의 공간 구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특정 계획 요소를 도출해내는 것으로 한다. (결과) 건축가 인터뷰 및 자료 조사를 통해 대상 프로젝트의 공간적 특이점을 만들어내는 근간이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유아교육법인 레지오 에밀리아 어프로치(Reggio Emillia Approach)로 확인되는바, 이에 대한 고찰을 선행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교육법의 주된 공간적 특성이 내부 광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시의 건축화를 통해 실내로 들어온 내부 광장은 손진의 유치원 작업에서도 뚜렷하게 확인되며, 이는 그의 유치원 연작을 관통하는 주된 공간적 특질이다. 사람들이 만나고 교류하는 장(場)인 이탈리아 도시광장의 특성을 고스란히 품고 유아 교육 시설 안으로 들어온 내부 광장은 로비, 강당, 놀이 공간, 확장된 교실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며 전체 시설의 중심이 된다. 주 동선상에 놓여 일상적으로 이용되는 내부 광장에서 아이들은 만나 어울려 놀고, 서로를 통해 배우며 자연스럽게 성장하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한다. 이처럼 뛰어난 기능에도 불구하고 내부 광장을 기본 계획 요소로 일괄 적용하기 어려운 것은 면적의 확보와 그에 따르는 비용의 문제이다. 그러나 개별 프로젝트에 대한 세부적 관찰과 비교 분석을 통해 복도 공간의 확장, 기능실과의 결합 등의 방법으로 이와 같은 제약 상황에서도 내부 광장을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었다. (결론) 유아들의 성장과 사회화, 열린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장(場)으로 작동하는 내부 광장을 미래 유아 교육 공간의 기본 계획 요소로 포함할 것을 제안하며, 더 나아가 매뉴얼화를 통해 유아 교육 공간 계획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것을 기대해본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The advancement of official archives management is one of the measures that can be used to estimate the state of a democratic nation. Diplomatic Archives, which was established in 2006, is the first special records center to be accessible to the public that allows institutions handling diplomatic tasks to observe and learn from actual diplomatic activity. However, in reality, the exhibition managed education program currently provided by Diplomatic Archives is of low quality compared to the actual value of the diplomatic records stored, due to the lack of facility improvement, resulting in a run-down exhibition facility and display metho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Diplomatic Archives by offering a plan for facility improvement. (Method) Th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iplomatic Archives aims to clearly define the management of the facility and boundary where cultural activities will be provided. Additionally, the study derived a possible activity program to promote other archives and raise public awareness by performing a case study on new governmental and public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ese investigations allowed us to provide a spatial improvement proposal appropriate for the current status of Diplomatic Archives and apply it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the facility. (Results) By offering ”User Expansion Service” linking archives, library, and museum, the facility was transformed into a user-oriented institution by diversifying cultural activity. In order to realize this, the study suggested the Larchiveum model, which links resources and functions owned by Diplomatic Archives with visitors in order to provide a diverse experien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open library and temporary exhibition. Furthermore, our proposal recommends the gradual expansion of areas accessible to general visitors, starting from lower ground floor one to the second floor above. As an initial step, experience and temporary exhibition targeting visitors in their youth will be established followed by the second step in which floor one above the ground will house the renovated permanent exhibition. The last step will involve the establishment of an open library on floor two allowing an integrated tour program. (Conclusions) Changing the original archival programs to focus more on users as displayed by this model can be considered a response to recent users of cultural information looking for a way to access a variety of information in a single location. We hope the proposals recommended in this study can help provide better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rchives and exhibition plan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설계공모 심사결과 분석을 통한 유치원의 계획 주안점 도출에 관한 연구
이정원(Lee, Jung-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8 (202108)
저층형 단설 유치원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정현석 ; 윤동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2권 2호 (202011)
몬테소리 교육이론에 기초한 유치원 공간 디자인 연구
심연근(Shen, Yan-Qin) ; 남경숙(Nam, Geong-Sook)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19권 2호 (201710)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아모레퍼시픽 사옥 설계사례
최도석 - 설비저널(대한설비공학회지) : Vol.47 No.12 (2018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아동행태 특성에 따른 유치원 내 어린이 놀이터 공간 특성
정유진 ; 정진주 -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 v.15 n.4 (201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