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프로그램 변화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Program Changes of Domestic highway rest area
저자명 이범동(Lee, Boumdong) ; 이종세(Yi, Jongse) ; 김주연(Kim, Jooyun)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5 No.01 (2020-02)
페이지 시작페이지(241)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고속도로휴게소; 라이프 스타일; 공간 인식; 공간 프로그램; 관계성 // Highway rest area; Lifestyle; Spatial recognition; space program; Relationship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의 개념은 생리적 해결을 위한 선택적 경유 공간에서 여행 중 다양한 목적의 장소로서 변화되어가고 있다. 그 배경으로는 운영사의 경쟁에 의한 자체적 시설투자 뿐 아니라 이용객의 생활수준 향상에서 오는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급변하는 기술의 발전 등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삶의 변화 속에서 미래의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디자인 변화는 지속적으로 요구되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변화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현재 휴게소의 물리적 변화와 공간프로그램은 어떠한 가치로 변화되어 왔는가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래의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속도로 휴게소의 정의 및 역할, 기존의 공간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 분석의 틀을 마련한다. 둘째, 20대부터 70대까지 남, 여의 휴게소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령대별 휴게소의 중요 인식공간에 대한 분석을 제시한다. 셋째, 1970년부터 10년 단위로 각 시기에 개설된 휴게소 공간의 평면을 기반 하여 공간의 특성 및 전체 분석 공간 대비 특성별 면적의 점유비율을 분석한다. 넷째, 고객층의 중요 공간 인식도와 시대별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 변화와의 관계성을 각 결과별 그래프를 통해 비교분석 한다. 다섯째,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의 변화와 이용객의 라이프 스타일과의 연관성을 증명하고, 미래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 변화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결과) 라이프 스타일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과거의 주 이용객 세대인 60~70대로 갈수록 생리적 욕구 해소를 위한 공간과 영업적 공간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는 반면 미래의 주 이용객 세대인20~30대로 갈수록 문화 체험적 공간과 이용자 서비스 공간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간 프로그램 변화의 분석 결과 과거 식사 공간, 매점 등의 영업 공간, 생리적 욕구 해소를 위한 공간 위주에서 현재의 휴게소 공간은 휴식 체험 등 이용자 서비스 공간, 문화 체험욕구 해소를 위한 공간 등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시대별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프로그램의 변화 형태와 연령대별 고속도로 휴게소 중요 인식 공간의 비율 형태를 그래프 화하여 비교한 결과 두 그래프의 형태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의 변화가 연령대별 대별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다가올 미래의 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는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객의 라이프 스타일의 선제적 예측으로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개념의 공간 프로그램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concept of domestic highway rest areas has been changed as a place for various purposes during travel in selective transit spaces for physiological solutions. In this change of life, the spatial design change of the rest area of ??the future will continue to b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pace program through research on the physical & value change of the space program in current rest area by focusing on the connection with social change. (Method) First, a framework for research analysis is prepared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definition and role of rest areas and existing spatial programs. Second, this study suggests an analysis of the important recognition spaces of rest areas by age group through a survey of male and female rest stop users in their 20s and 70s. Third, based on the planes of the rest area spaces established at each time period from 1970 to 10 yea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the occupancy ratio of the area by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total analysis space are analyzed. Fourth, we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t spatial awareness of the customer space and the changes in the space program of rest areas by time and interval through graphs for each result. Fifth,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is study proves the connection between changes in the rest area program and the lifestyle of the gues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past generation of main users as the 60s and 70s are increasing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pace for business and relief from physiological needs. Otherwise, the importance of cultural experience space and service space for user toward the future generation of 20~30 generations was found to be greatly recognized. As to analysis results of spatial program changes in rest area, in the past, dining spaces, business spaces such as convenient shops, and space for relieving physiological needs were focused on, but the current rest area was gradually expanding to provide user service spaces such as relaxation experiences and spaces to resolve cultural experience needs.(Conclusions) Two results of graphing the changes in the space program of rest areas by age and the proportion of the important recognition spaces of rest areas by age group are similar formally, so this is the result that the change of the rest area program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of lifestyle by age group. With upcoming the commercialization of future autonomous vehicl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a variety of new concept space programs by preemptively predicting the users lifestyle of rest area.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공간구문론을 통한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이범동(Lee, Boumdong) ; 이종세(Yi, Jongse) ; 김주연(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5 No.04 (202006)
고속도로 복합휴게소 내 지역 밀착형 도입시설 연구
황미애(Hwang, Mi-Ae)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0권 1호 (2018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