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발전 방향 연구 / Development Direction of Public Libraries as the Complex Cultural Space for Local Community Activation
저자명 권지은(Kwon, Jieun) ; 권기윤(Kwon, Giyoon) ; 박현주(Park, Hyunjo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5 No.02 (2020-03)
페이지 시작페이지(161)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공공도서관; 복합문화공간; 지역 커뮤니티; 도서관 공간; 공간 브랜딩 // Public Library; Complex Culture Space; Local Community; Library Space; Space Branding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공공도서관은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단순한 정보 제공의 기능뿐만 아니라 교육, 여가활동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사회의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도서관은 지역의 활성화를 위하여 복합문화공간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은 특정 지역의 고유문화 예술 발전의 구심점을 제공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조성하도록 하는 공공도서관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의 연구를 통해 지역 문화 브랜딩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정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개념, 지역 사회와 관련한 역할,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이 어떤 의미인지 연구하고 둘째,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운영되고 있는 국내외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분석하여 셋째, 분석 결과를 통해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의 발전 방향을 제안한다. (결과) 복합문화공간의 기능은 상징성, 복합성, 전문성, 참여성, 접근성으로 분류하여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연계할 수 있다. 사례 분석 결과, 다섯 가지 특성 요소 중 참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공간을 제공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의 중요성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복합성과 접근성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의 공간에서 다양한 가치를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의미에 부합한다. 상징성은 모든 사례에서 가장 높은 척도로 평가되었다.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은 이러한 상징성을 바탕으로 지역의 특색을 살린 랜드마크화가 가능하고 이로 인한 타지역민 유입이나 관광산업의 가치까지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결론)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은 지역의 특색에 맞는 문화공간의 콘텐츠를 개발, 전문적 정보 제공 등을 통하여 지역의 상징을 살릴 수 있는 랜드화가 가능하며 문화공간의 질적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공간의 하드웨어가 되는 건축물은 개성을 살리고, 소프트웨어인 운영 프로그램은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해야 하며 복합문화공간의 특징인 다양성을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과 서비스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공공도서관의 기본적 기능을 유지하면서 복합문화공간의 역할과 공간구성을 융합한 방향성 추구는 그 지역 브랜딩과 지역 주민의 삶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the public library beyond the place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education centered on books is demanding the symbol of the community and the value as a cultural community space. Accordingly, public libraries are developing in the form of complex cultural spaces to revitalize the reg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public library to provide the central point of the development of unique culture and arts in a specific region and to create a cultural identity.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ublic libraries for local cultural branding through the study of public librari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Method) First, we studies the concept of public library, the role related to the community, and the meaning of the library as a complex cultural space based on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Second, we analyzes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public libraries operating as complex cultural spaces. Third,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we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as a complex cultural space. (Results) The function of a complex cultural space can be linked to the function of a public library by the characteristics of symbolism, complexity, expertise, participation and accessibility.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participation among the five characteristic elements was the highest, which could see the importance of encouraging voluntary participation by providing various programs and spaces. The next high level of complexity and accessibility conforms to the meaning of a complex cultural space in that you can experience various values in an easily accessible space. Symbolism was rated as the highest scale in all cases. Based on this symbolism, the public library as a cultural complex will be able to be a landmark that accentu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thus gain the value of the tourism industry as well as the influx of people from other regions. (Conclusions) Public librari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can be landlocked and improve the quality of cultural spaces by developing contents of cultural space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providing profess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rchitecture that serves as the hardware of space should be unique, and the operating program that is the software should meet the user's requirements. Variety, a characteristic of complex cultural spaces, needs to be applied to the spatial composition and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conclusion, the pursuit of directionality, which fused the role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composite cultural space while maintaining the basic function of public libraries, is expected to help promote the local branding and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최근 국내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김현오(Kim, Hyeon-Oh) ; 김용승(Kim, Yong-Se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6 No.12 (20201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건축 공간의 경계 모호성과 투명성
고경호(KO Kyeongho) ; 김덕수(KIM Duk-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7 No.01 (201203)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복합화를 위한 건축공간구성 방법에 관한 연구- 렘 콜하스의 도서관 건축을 중심으로 -
변상현;박열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72호 (20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