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노인 복합 커뮤니티케어 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ld People Complex Community Care Space
저자명 이승일(Lee, Seungil) ; 김주연(Kim, Jooyun) ; 안진근(Ahn, Jinkeun) ; 김성배(Kim, Seongba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5 No.03 (2020-04)
페이지 시작페이지(117)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노인; 초고령사회; 돌봄; 커뮤니티케어; 커뮤니티케어공간 // Old People; Post-Aged Society; Care; Community Care; Community Care Space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과학의 발달과 복지제도의 다양화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한 인간의 수명이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그 중 노인인구의 증가 대비 출생인구의 부족으로 2030년부터는 생산인구의 부족으로 인한 심각한 경제문제에까지 봉착할 것이 예견되고 있다. 2108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00년 총인구 46,136,101에 65세 이상 인구가 3,374,561로 7.3%를 차지하고 있던 것이 10년 후인 2010년에는 11.2%로 4%가량 증가하였고 작년 2018년 통계로는 14.4%로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커뮤니티 및 돌봄을 병행하여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커뮤니티케어시설과 주거공간이 갖추어진 복합형 공간을 분석하여 노인들이 편안하고 안전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효율적인 공간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대다수의 농촌이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광범위한 돌봄 사각지대로 당사자뿐만 아니라 비공식 돌봄 과정에서 일어나는 사회적인 부담 가중, 보건의료와 복지의 연계 미흡으로 공급기관 중심의 정책집행으로 인한 재가중심의 서비스 욕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을 통해 각각의 생활환경을 분석하고, 분석된 내용에서 접근성, 안정성, 편의성, 개방성, 활동성, 효율성이라는 6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소와 세부내용을 토대로 충청남도 청양군에 건설 예정인 노인 복합 커뮤니티케어센터의 주요공간에 해당하는 시니어카페, 공용식당, 문화활동실, 프로그램실, 체력단련실, 휴돌봄센터를 선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는 청양 노인 복합 커뮤니티케어 6개의 중요공간을 분석해본 결과, 시니어카페와 공용식당에서는 접근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문화활동실에서는 활동적인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실의 특성상 개방성, 활동성, 효율성이 높은 점수를 받았고 프로그램실에서는 접근성, 안정성이 좋게 평가되었으며, 체력단련실에서는 특성상 안정성과 활동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휴돌봄센터에서는 안정성과 효율성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돌봄 시설의 거점인 노인 복합 커뮤니티케어의 공간특성을 잘 분석하여 효율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결론) 노인인구 증가는 노인빈곤인구 증가라는 등식이 세워질 수는 없으나, 한국사회의 현실은 노인인구 증가와 노인빈곤층 증가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물의를 일으킬 요소들이 해가 갈수록 거듭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 돌봄 시설의 거점인 노인 복합 커뮤니티케어의 공간특성을 잘 분석하여 효율적으로 구성, 운영해야 하며,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노인 복합 커뮤니티케어 공간을 개선하기 위한 체계적 방법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diversification of welfare system, etc., human life span has been rapidly increasing, which brings about many problems. It is expected that shrinking of the proportion of young population compared with that of the old population will bring about serious economic problems caused by shortage of production population from 2030. According to the 20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among the total population of Korea 46,136,101 in 2000, the number of those 65 years old or over was 3,374,561, taking up 7.3% of it. 10 years later in 2010, the proportion of old people increased by 4% up to 11.2%, and to 14.4% in 2018. Thus, this research intends to suggest more efficient spaces for old people to make them lead comfortable and safe lives by analyzing the spaces equipped with both community care facilities and residential spaces inside the Old People Complex Community Center which will be constructed in Cheongyang-gun, Chungcheongnam-do as a way to provide them with dual functions of the living community and care for them. (Method) The research method is to examine living conditions of each old person based o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extracted 6 elements ? accessibility, safety, convenience, openness, activity, and efficiency. Based on extracted elements and detailed contents, this research will select and analyze major spaces for old people ? senior cafe, cafeteria, culture room, program room, fitness center, and care center ? of the Old People Complex Community Center. (Results) The data analysis of six facilities found the followings: accessibility was the most highly evaluated for senior cafe and cafeteria; openness, activity, and efficiency were highly evaluated for culture room because the room provides them with active programs; accessibility and safety for fitness center; safety and efficiency for care can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 designing the operation of the Old People Complex Community Center, a central place of old people care in the region. (Conclusions) The increase of old population is not equal to the increase of old poor people. But, in Korea, there is increasing possibility that the increase of old population and of old poor people will create social, economic problems.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d spacial characteristics of the Old People Complex Community Center, a central place of old people care in the region, and suggested a way to operate it more efficiently.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serve as basic sources in seeking systematic ways to improve such facilities in local self-governing bodie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
근대건축물 활용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권영상 ; 심경미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5 (2009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