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개인형 이동수단의 자전거도로 사용을 위한 도로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oad Environment Design for the Use of Personal Mobility on Bicycle Roads
저자명 김승호(Kim, Seungho) ; 김수홍(Kim, Soohong) ; 김주연(Kim, Jooyun)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5 No.03 (2020-04)
페이지 시작페이지(149)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퍼스널 모빌리티; 개인형 이동수단; 도로환경디자인; 자전거도로; 공공디자인 // Personal mobility; Personal mobility device; Road environment design; bicycle road; Public design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개인용 이동수단(퍼스널 모빌리티. Personal Mobility. PM)이 자동차 중심의 교통문제를 해소하면서 지속가능한 교통수단이라는 장점으로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수요측면에서도 2014년 기준 약 3,500대의 이용대수에서 2022년에는 2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법적 규제와 이용가능한 도로, 안전기준 등이 규정되지 않아 이용자들은 차도 뿐만 아니라 보도에서도 이용하면서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개인형 이동수단의 안전한 이용을 위해 도로 환경디자인에 대한 제도적·물리적 조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형 이동수단의 개념 및 특징, 이용현황을 우선 살펴보고, 선진사례 분석을 통해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 개인형 이동수단의 범위는 저/중속의 1인용 교통수단 기기를 대상으로 하였고, 제도적·물리적 이용환경 기준을 범위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국내의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제도적 현황 및 향후 이용가능성이 높은 자전거도로의 주요환경요소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후, 선진사례 연구를 통해 제도적 측면에서는 주행가능 공간 및 이용규칙 등을 살펴보았으며, 물리적 측면에서는 주요 주행가능도로인 자전거도로를 대상으로 주요 시설요소의 현황 분석을 통해 국내에 도입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물로 국내 개인형 이동수단의 안전한 이용을 위한 도로환경디자인 조성방향을 제안하였다. 우선 개인형 이동수단이 자전거도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관련제도 구축방향으로 대상기기의 종류와 허용규모, 이용자의 자격요건, 필수 안전장치 등의 사항을 제안하였으며, 물리적 환경구축 방향으로 현행 자전거도로의 기준 폭 확장과 개인형 이동수단의 시각요소 개발을 통한 안전표지의 변경사항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최근 급증하는 새로운 개인형 이동수단은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써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용자는 매년 급속히 증거하고 있으나 관련법이 없어 이용자들에게 혼란과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하고 있다. 이에 자전거도로에서의 개인형 이동수단의 이용을 위해 제도적 기반 구축 세부기준의 설정과 물리적 요소 등의 개선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 본 연구의 제안내용들을 기반으로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법률의 개정과 세부적인 규제지침 마련, 폭넓은 활성화 방안과 인프라 구축을 위해 이용자 행태까지 고려된 자전거도로 설계지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as the personal Mobility solves the automobile-centered transportation problem, the number of users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the advantage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In terms of demand, it is expected to exceed 200,000 in 2022 from approximately 3,500 units in 2014. However, since legal regulations related to personal mobility methods available roads and safety standards are not yet established, various safety accidents are occurring while users use them on roads as well as on pedestrian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se social problems,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n institutional and physical composition plan for road environment design for the safe use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thod) Therefore,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usage status of personal mobility, and laid the foundation for research through analysis of advanced cases. The scope of personal mobility was targeted at low / medium speed single-person transportation equipment, and the institutional and physical use environment were set as the scope of the study.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institutional status related to personal transportation in Korea and the major environmental factors of bicycle roads with high potential for future use were grasped. Afterwards, through the case study of advanced cases, the driving space and usage rules were examined in the institutional aspect, and in the physical aspect, elements that could be introduced into the Korea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main facility element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designing a road environment design for the safe use of personal mobility in Korea was proposed. First of all, in order to establish a related law that allowspersonal mobility to use the bicycle road, the types of target devices, allowable size, user qualification requirements, and essential safety devices were proposed. In addition, in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the physical environment, it proposed the extension of the standard width of the current bicycle road and changes in safety sig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visual elements for personal mobility. (Conclusions) Recently, the new personal mobility means, which is rapidly increasing, has unlimited possibilities as a next-generation eco-friendly transportation method. However, users are witnessing rapidly every year, but there are no related laws, causing confusion and various safety accidents to users. For this,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and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actors, etc., must be carried out for the use of personal transportation on bicycle roads. Based on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continuous research on the design guidelines for bicycle roads considering the user's behavior should be conducted to revise the laws related to personal transportation and to prepare detailed regulatory guidelines and to establish a wide range of revitalization methods and infrastructure.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도시 물리적 환경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특성에 관한 연구 -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 1-1생활권을 중심으로
이수진; 김충호 -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2104)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아모레퍼시픽 사옥 설계사례
최도석 - 설비저널(대한설비공학회지) : Vol.47 No.12 (201812)
차세대 교통기술 발전에 따른 도시공간의 대응방안 연구
오성훈(Oh, Sunghoon) ; 성은영(Seong, Eun Young) ; 이종민(Lee, Jong MIn) ; 강현미(Kang, Hyunmi) - 연구보고서(기본) : 2017 No.12 (201712)
현대 도시건축에 나타나는 모빌리티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
정혜진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7호 (201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