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빛 연출을 통한 문화시설의 전이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ight Performance in Transition of Space in Cultural Facilities
저자명 조능혜(Zhao, Linghui) ; 이재규(Lee, Jaekyu)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5 No.03 (2020-04)
페이지 시작페이지(309)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문화시설; 빛 연출; 인공 빛; 자연 빛; 전이공간 // Artificial light; Cultural Facilities; light performance; Natural light; Transition space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경제 발전에 따라 사회는 산업 시대부터 디지털 정보 시대로 발전했다. 이로 인해 미디어 수단을 통해 문화콘텐츠의 전달과 공간의 형태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기존 문화시설의 공간이 점차 단일화 되는 것이 현시대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전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시설과 연결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전이공간은 문헌공간디자인을 다양화하고, 다층적으로 만들게 하며, 관객의 정서를 끌어내고 연계성과 전이성에 이르는 큰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이공간의 디자인은 문화시설에 있어 특히 중요하다. 또한 빛 연출 디자인은 문화시설의 전이공간에 더욱 풍부한 공간 체험을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빛 연출을 통한 문화시설의 전이공간에 나타난 디자인 요소를 분석이며, 실제로 구현된 문화시설 분석을 통해 그 특성들이 공간에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문화시설이 표현하는 주제들을 더욱 돋보이게 함으로써 관람객들에게 보다 나은 공간적 분위기와 체험을 만들어주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빛 연출과 문화시설의 전이공간들을 중심으로 문헌 고찰을 통한 빛 연출과 문화시설에서 전이공간의 정의와 특성을 알아본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빛 연출을 통한 문화시설에서의 전이공간의 특성에 대해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앞서 빛 연출의 통한 문화시설에서 전이공간의 디자인 요소를 토대로 사례 분석의 틀을 도출하여 각 사례를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결과) 빛 연출과 문화시설의 전이공간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빛 연출을 통한 문화시설 전이공간에서 나타나는 물리적 가변성, 시각적 유도성, 기능적 다양성, 심리적 전환성, 전체적 연속성의 다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도출된 특성을 바탕으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다섯 가지 디자인 요소 중 시각적 유도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심리적 전환성도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규칙적인 디자인과 균일한 빛 연출일수록 표현된 물리적 가변성과 기능적 다양성이 낮게 분석되었다. 반면, 전체적인 연속성은 전이공간의 규모와 빛 연출의 디자인에 따라 표현의 강도도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고찰을 통한 문화시설은 대중의 예술 공간이면서 전이공간은 예술적 분위기를 자아내는 중요한 공간이다. 문화시설의 디자인은 문화 그 자체를 충분히 담아내고, 문화시설 내의 전이공간에서 빛 연출을 통하여 관람자들에게 효과적인 흥미를 자극하며, 쾌적한 환경으로 인식하게 하며, 문헌공간속 주제를 더욱 잘 전달하게 한다. 즉, 이러한 공간은 관람자들에게 다채로운 공간의 체험과 감상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y, the society has changed from the industrial age to the digital information age, and the communication of cultural information and the spatial forms attached to it are changing rapidly through the media. In recent years, in the existing cultural facilities, the space design method is simplified, while the transition space makes the cultural space design become diversified. Therefore, cultural space design needs a transition space that the connection and transformation. Therefore, the design of transition space is important for cultural facilities. The research it to analyze the design factors of light Performance in transitional space of cultural facilities. Through actual analysis of cultural facilities, the research puts forward relevant space solutions according to its features, In this way, the theme which is expressed by cultural facilities can be better highlighted to create a good space atmosphere and experience for the audience. (Method) The method of this study centers on the transition Spaces in light performances and cultural facilities.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 Spaces in light performances and cultural facilities are examined and understood through literature. Moreover,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performance elements of the transition space in cultural facilities can be obtained. Then based on the design elements of light performance in the transition space of cultural facilities, each case is analyzed from multiple perspectives. (Results) Through the preliminary research of the light performance and the transition space in cultural facilities, it is concluded that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light performance in the transition space of cultural facilities can b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physical variability, visual guidance, functional diversity,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and overall continuity.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case is analyzed. Among the five design elements, the visual guidance is the highest and the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is also high. In addition, the more regular the design and uniform light performance, they show less physical variability and functional diversity. The scale of the overall continuous transition spac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light performance design, and the intensity of the performance is also different. (Conclusions) Cultural facilities are a kind of art space for the public, and the transition space can shape the artistic atmosphere of the space. The design of transition space in cultural facilities should fully reflect its own cultural implications, and light environment design is also needed to better stimulate the visitors' interest in the transition space, so as to create a good environment for the audience. This can also better convey the theme of cultural space, so as to trigger people to think and let people achieve visual freedom and space enjoyment.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루이스 바라간 건축에 나타난 전이공간 접근요소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민경(Minkyung Kim) ; 윤재은(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3 (201706)
도서관 건축의 전이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배동식(Dongsig Ba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3 (201706)
공간시퀀스에 영향을 주는 빛 요인에 관한 연구
김영진(Youngjin Kim) ; 김주연(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3 No.02 (201804)
전이공간의 사례와 디자인 특성 분석 연구
새빈듀라니 ; 김석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2권 1호 (2020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