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간구문론을 통한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of Spatial Change in Highway Service Area in Korea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Spatial Syntax -
저자명 이범동(Lee, Boumdong) ; 이종세(Yi, Jongse) ; 김주연(Kim, Jooyun)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5 No.04 (2020-06)
페이지 시작페이지(175)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변화; 공간인식; 공간구문론; 변화요인 // Highway Rest Area; Space Change; Space Recognition; Space Syntax; Factors of Change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고속도로 휴게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지만,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미래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과거와 현재의 공간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공간변화에 대한 분석방법으로 형태, 면적, 공간프로그램 등의 분석을 통한 계획학적 접근법과 공간인식, 라이프스타일 등 사회, 문화적 요인과의 관계성 분석을 통한 주관적 접근법 사용된다. 주관적 접근법은 개인의 공간인식 경향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기에 변화의 객관적 근거로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각 단위공간의 연결 관계를 파악하여 대상 공간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특성을 정량적 수치로 나타내는 공간구문론 분석을 통해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적 변화와 요인을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공간인식 변화에 따른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의 특성별 재 분류 및 공간프로그램의 형태적 변화를 분석한다. 둘째, 공간구문론 분석을 진행하여 공간의 관계성 변화에 대한 정량적 수치를 도출한다. 셋째, 공간의 형태와 관계성 변화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변화의 형태와 요인에 대한 객관적 근거를 제시한다. 연구의 범위는 초창기 1973년에 개설된 진영휴게소와 중반기 2004년에 개설된 문경휴게소(마산방향), 최근 2018년도에 재건축된 문경휴게소(양평방향)의 내부공간을 설정하였다. (결과) 분석의 결과 필요공간은 초창기의 진영휴게소가 위상학적 중심성이 강하게 나타난 반면, 충분공간의 경우 최근의 문경휴게소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상학적 중심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계획학적 분석의 결과와 동일한 결과이며, 초창기 공간계획이 주변 공간으로의 다양한 연결성을 바탕으로 단순하게 형성된 반면 최근의 공간계획은 다양한 공간의 형성과 함께 깊고, 복잡화 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및 의의) 최근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의 변화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이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함과 동시에 효율적이면서도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중요하게 여기는 현대인의 공간인식 변화를 반영한 결과임을 계획학적 분석과 함께 공간구문론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미래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변화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변화와 요인을 정량적 수치의 변화를 통해 객관적으로 제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ighway rest areas, but research on spatial changes in highway rest areas is insufficient. It is used as a subjective approach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social and cultural factors such as planning approach, space perception, and lifestyle by analyzing form, area, space program, etc. as an analysis method for space change. The subjective approach has limitations in presenting as an objective basis because it can be derived with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tendency of individual's space recogni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present spatial changes and factors of highway rest areas though the analysis of space syntax which shows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as quantitative figures by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unit space. (Method) First, it analyzes the classification of spaces in highway rest areas according to changes in space perception and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space programs. Second, it derives quantitative figures for changes in the relationship of space through the analysis of space syntax. Finally, it presents the objective basis for the shape and factor of the chang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hape of the space and the relational change. The scope of the study was to set the interior space of the Jinyoung Rest Area which opened in early 1973, the Munkyeong Rest Area (masan-direction) which opened in the middle of 2004, and the Mungyeong Rest Area (yangpyeong-direction) which was reconstructed in 2018.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quired space was found to have strong topological centrality in the early Jinyoung Rest Area, whereas in the case of sufficient space, it was found that the recent Mungyeong Rest Area showed relatively high topological centrality. This is the same result as that of the planned analysis, and the recent space plan in highway rest area was found to be profound and complicated with the formation of various spaces while the initial space plan was simply formed based on various connections to the surrounding space. (Conclusions)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syntax theory along with the planning analysis, it was found that recent changes in the space of highway rest areas is a result of reflecting changes in space recognition of modern people who reflect various needs of users according to lifestyle changes and at the same time is effective and important for personal privacy. These results can provid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space changes in future highway rest area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space changes and factors of highway rest areas were objectively presented through the quantitative numerical change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프로그램 변화에 대한 연구
이범동(Lee, Boumdong) ; 이종세(Yi, Jongse) ; 김주연(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5 No.01 (202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고속도로 복합휴게소 내 지역 밀착형 도입시설 연구
황미애(Hwang, Mi-Ae)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0권 1호 (2018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국내 첫 도로 상공형 휴게소 완공사례
전권식(Jeon, Gwon-Sik) ; 김은국(Kim, Eun-Guk) ; 김민태(Kim, Min-Tae)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7 No.2 (201710)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