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심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장소특정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Elements of the Place-Specific for the Formation of sense of place in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the City
저자명 채승현(Chae, Seunghyun) ; 김주연(Kim, Jooyun) ; 임선희(Lim, Sunhe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5 No.05 (2020-08)
페이지 시작페이지(189)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도시공간; 복합문화공간; 장소성; 장소특정적; 공간요소 // City Space; Complex Cultural Space; sense of place; Place-Specific; Spatial Elements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삶의 질과 문화 소비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복합문화공간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복합문화공간의 문화 서비스영역 확대에 따른 공간형태 진화는 장소성의 변화를 의미하며 공간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경향에 장소성 형성의 중요성은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심 복합문화공간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문화 장소를 구축하며 장소성이 뛰어난 공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장소특정적 공간 요소를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복합문화공간의 장소특정적 공간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방법을 설정하였다.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장소성 형성요인 및 특성들을 규정하고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을 형성하기 위한 특정적 공간 요소를 각 사례에 대입 후 분석하여 사례별로 도출된 장소특정적 공간 요소의 종합 분석을 토대로 향후 효과 및 기대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범위는 체계적이고 일관적인 분석의 증명을 위하여 금융기업의 복합문화공간이라는 단일 분야로 지정하였다. (결과) 복합문화공간의 장소특정적 공간 요소를 도출하여 사례에 따라 분석을 평균화한 결과 공간적 전문성이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났으며 영역적 복합성, 맥락적 접근성, 행태 유도적 참여성이 같은 점수로 나타났고 형태적 상징성의 경우 가장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복합문화공간의 형태적 상징성은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을 구축하는 것이 아닌 기존에 업무 위주로 운영이 되고 있던 공간을 리모델링하여 재구성하는 경우 건축의 독창성과 상징성을 높이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으나 맥락적 접근성을 높여 이용자를 유입하고 공간의 전문성, 영역적 복합성, 행태 유도적 참여성의 유도로 문화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공간 안에서 폭넓게 제공하고 다양한 조건에 따른 자율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성을 획득할 수 있다. (결론) 장소성 형성요인이 상호작용을 통해 장소의 특정적 요소가 부각되며 구심점 역할이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도시를 표방하는 차별적 요소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도심 복합문화공간에서 장소특정적 요소가 도심 환경을 조성하며 삶의 질을 높이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역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향후 더욱 다양한 분야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세부적이며 실증적인 연구를 도모하고자 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Entering the 21st century, as the quality of life and the desire for cultural consumption increased, complex cultural spaces began to emerge. The evolution of space form due to the expansion of cultural service areas in complex cultural spaces means a change in ‘sense of place’ and the importance of forming ‘sense of place’ is drawing more attention to the trend of people's continued demand for spa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cultural place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in urban complex cultural spaces and to identify place-specific space elements to create a space environment with excellent ‘sense of place.’ (Method) The following methods of research were established to identify the location-specific spatial element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formation of ‘sense of place’ are defined and the specific spatial factors for forming ‘sense of place’ of complex cultural space are analyzed after substituting each case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place-specific spatial factors derived on a case-by-case basis, future effects and expectations are presented.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designated as a single area, a complex cultural space for financial firms, for the purpose of proving systematic and consistent analyses. (Results) As a result of eliciting place-specific spatial elements of complex cultural space and averaging analysis according to cases, spatial expertise was shown as the highest score, with the same score as regional complexity, contextual accessibility, and behavioral-induced participation, and the lowest score in the case of formal symbolism. The morphological symbolism of the complex culture space may be limited in enhancing the originality and symbolism of the architecture when remodeling and reconstructing the existing work-oriented space rather than building a new complex cultural space, but by increasing the contextual accessibility, providing a wide range of opportunities to attract users and enjoy the culture and arts through the inducement of spatial expertise, area complex, and behavior-inducing participation, and thus gaining autonomous participation under various conditions. (Conclusions) It can be said that the ‘sense of place’ forming factor can be a pivotal role, with specific elements of the place highlighted through interaction. This can also be seen as an important role in the discriminatory elements that advocate cities in a complex modern society. Finally,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role of place-specific elements in the urban complex cultural space to create an urban environment,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enhance user satisfaction, and aims to promote detailed and empirical research through case studies in more diverse fields in the future.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나선영(Sunyoung R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2 (201704)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치유개념이 적용된 복합문화공간 사례 연구
임종훈(LIM Jonghoon) ; 전재현(CHUN Jaeh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9 No.04 (201412)
장소성 정의 및 개념 연구
홍성희 ; 박준서 ; 임승빈 - 한국경관학회 학술발표대회 : v.2011 n.1 (20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