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공건축물 에너지소비량 관리시스템(PEIS) 정보체계 프로토타입 개발 / Improvements on Public Buildings Energy Information System
저자명 김덕우(Kim, Deuk-Woo) ; 오세민(Oh, Se-Min) ; 양희연(Yang, Hee-Yeon) ; 이승언(Lee, Seung-Eo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6 No.09 (2020-09)
페이지 시작페이지(109) 총페이지(10)
ISSN 2733-6247
주제분류 환경및설비
주제어 공공건축물 에너지 소비량 정보 시스템; 보고 자동화 체계; 국가건물에너지통합DB; 운영정보 // "Public Building Energy Information System; Report automation system; Building energy integrated database; Operation information"
요약1 강화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탈원전 등 국가 에너지전환 정책 대응에 따라 기존 건축물 에너지성능 개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 및 공공건축물은 중점 관리 대상으로써, 정부에서 적극 관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 주요 3개 부처(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교통부)에서는 공공건축물의 온실가스 절감 및 에너지 효율화를 위해, 각 부처 마다의 정보 시스템을 활용하여 매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을 지속적으로 제출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그러나 각 정보 시스템에 제출하는 자료는 건축물대장 정보와 에너지소비량 정보로써, 동일한 정보를 서로 다른 시스템에 제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중복 업무를 줄이기 위해서는 공공건축물대장정보와 에너지소비량 정보를 통합한 플랫폼이 필요하다. 통합 플랫폼은 각 법규정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세트를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방식으로 제공하여 전술한 업무 중복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국가건물에너지통합DB를 원천 데이터로 활용하여, 공공건축물 특화 통합플랫폼 프로토타입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개발 프로토타입은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운영하는 공공건축물 에너지소비량 정보관리 시스템에 시범 적용하였고, 본 논문에서 개발과정과 마주한 이슈, 시사점을 기술한다.
요약2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energy performance of existing buildings has been emphasized in response to the strengthened national
GHG reduction targets and national energy transition policy. In particular, public buildings are actively managed by diverse Korean
government ministries. The officer, in each public organization, who manages public buildings should submit annual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nergy consumption of the buildings to each ministry's information system. However, the submitted information has been duplicated in
different systems. To overcome inefficient duplication issue,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public building and energy consumption information in
one platform. In this study, the prototype of integrated platform specialized for public buildings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based on the
national building energy database. Specifically, the platform was designed with the method of "primary key matching", which links energy
meter to building ledgers automatically and collects building operation information and other diverse information related to energy
consumption. The prototype was applied to the Public Building Energy Information System(PEIS) operated by the Korea Infrastructure Safety
and Technology Corporation(KISTEC).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is platform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the work efficiency to
manage public building`s greenhouse gas and energy efficiency.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2025년 의무화 로드맵에 따른 공공시설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 시장 수용성
이승민(Lee, Seung-Min) ; 김진호(Kim, Jin-Ho) ; 신광수(Shin, Gwang-Su) ; 김의종(Kim, Eui-Jong) -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 Vol.12 No.6 (2018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물 에너지 진단을 위한 시뮬레이션 적용시 쟁점과 한계
서원준(Suh, Won-Jun) ; 박철수(ParkCheol-S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8 n.01 (201201)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의 유용성
김덕우(Kim, Deuk Woo) ; 박철수(Park, Cheol Soo) ; 이승언(Lee, Seung E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3 No.05 (201705)
전역 민감도 분석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성능평가의 합리적 개선
유영서(Yoo, Young-Seo) ; 이동혁(Yi, Dong-Hyuk) ; 김선숙(Kim, Sun-Sook) ; 박철수(Park, Cheol-S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6 No.05 (202005)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강화에 따른 업무용 건물의 에너지성능 개선 효과
김지혜(Kim, Ji-Hye) ; 성제은(Sung, Jea-Eun) ; 김혜기(Kim, Hye-Gi) ; 박덕준(Park, Duk-Joon) ; 김선숙(Kim, Sun-Sook) -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 Vol.14 No.1 (202002)
계측데이터를 이용한 업무시설에서의 에너지용도별 사용량 추정방법 연구
김성임(Kim, Sung-Im) ; 양인호(Yang, In-Ho) ; 하수연(Ha, Soo-Yeon) ; 이수진(Lee, Soo-Jin) ; 진혜선(Jin, Hye-Sun) ; 서인애(Suh, In-Ae) ; 송승영(Song, Seung-Ye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6 No.05 (202005)
IoT정보기반 Modelica-EnergyPlus Co-simulation을 통한 에너지소비량 추정
김혜진(Kim, Hye-Jin) ; 서동현(Seo, Dong-Hyun) -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 Vol.13 No.5 (201910)
인공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냉동기 및 공조기 최적 기동/정지 제어
박성호(Park, SungHo) ; 안기언(Ahn, Ki Uhn) ; 황승호(Hwang, Aaron) ; 최선규(Choi, Sunkyu) ; 박철수(Park, Cheol S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5 No.02 (201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