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경기도형 공동체주택의 사회통합계획 특성이 공동체 활성화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Socially Integrative Planning Characteristics on Community Revitalization and Housing Satisfaction in Gyeonggido Type Community Housing
저자명 신유진(Shin, Yoo-Jin) ; 이연숙(Lee, Yeun-Sook)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6 No.10 (2020-10)
페이지 시작페이지(3)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이론
주제어 공동체 주택; 사회통합; 사회적 자본; 공동체 의식; 주거만족도 // Community Housing; Social Integration; Social Capital; Sense of Community; Housing Satisfaction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에서 시행하는 주거복지 정책인 신혼 육아 가구를 위한 커뮤니티 하우스인 경기도경기도형 행복주택의 사회통합적 계획 특성을 분석하고 거주 후 평가 방법(POE)을 통해 주거 공동체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여 각 변수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설문 조사는 경기도 공공 임대형 공동체 주택 사업인 경기도형 행복주택 단지 중 수원 광교 (204 가구)의 취약 계층 (신혼 · 육아 가족) 13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설문 조사는 2019년 7월에 실시되었으며 데이터 분석이 이어졌습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티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공동체주택의 사회적 자본 활성화 수준이 높아졌다. 둘째, 공동체주택의 외관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역 주민과 거주자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공동체 주택 단지 내 안전과 질서가 유지될수록 주거 만족도가 높게나타났다. 넷째, 공동체 주택 주거 단지에서 이웃과의 교류가 많을수록 주거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integration plan of Gyeonggido type happy house, which is a
community House for the child care families in a housing welfare policy executed by Gyeonggido, and measure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housing satisfaction(POE) survey to reveal the association between each variabl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133
interviewees in vulnerable housing classes (Newly wed and child care families) in Suwon Gwanggyo (204 households), which is a
Gyeonggido type Happy House complex that is a public rental community residential program of Gyeonggido. The survey was conducted in
July 2019 and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satisfied with the community
program, the higher level of social capital activation for the community house. Second,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exterior design of the
community house, the more satisfied with the local residents and tenants. Third, the better safety and order are maintained within the
community housing complex, the higher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 Forth, the more interaction between neighbors in the residential complex
of community housing, the higher the level of housing satisfaction.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공동체주택 사례분석을 통한 프로그램 공간구성 연구
김용(Kim, Yong) ; 황한선(Hwang Han-Sun) ; 오세규(Oh, Se-Gyu)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ol.20 n.03 (통권85호) (201806)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사회적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본 은혜공동체주택의 특성 연구
이명아(Myung-A Lee) ; 이연숙(Yeun-Sook Lee)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30 No.4 (201908)
공동체주택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특성 연구
이명아(Lee, Myung-A) ; 이연숙(Lee, Yeun-Sook)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1권 1호 (201905)
공동체주택의 사회통합적 계획 특성 비교분석 연구
신유진(Shin, Yoo-Jin) ; 이연숙(Lee, Yeun-Sook)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7 No.3(통권 128호) (201806)
공공주도형 공동체주택의 주거만족도 연구
장용준(Jang, Yong-Jun) ; 유석연(Yoo, Suk-Ye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3 No.06 (201706)
주거문화 진단 및 주택정책 방향설정 연구
염철호 ; 하지영 - 연구보고서(기본) : 2011 n.01 (20111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