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고해상도 빛공해 지도를 통한 서울시 조명환경관리구역 기준 분석 / An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of Seoul’s Environmental Lighting Zones based on a High-Resolution Light Pollution Map
저자명 이새롬(Lee, Sairom) ; 최춘웅(Choi, Choo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6 No.11 (2020-11)
페이지 시작페이지(171) 총페이지(10)
ISSN 2733-6247
주제분류 도시 / 환경및설비
주제어 조명환경관리구역; 빛공해; 야간조명; 용도지역; 도시계획 // Environmental Lighting Zone; Light Pollution; Night Light; Land-Use; Urban Planning
요약1 본 논문은 고해상도 빛공해 지도를 통하여 서울시 조명환경관리구역의 구분 기준을 분석한 것이다. 2018년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지원 아래 국내 빛공해 관리체계를 보완하고 도시계획적 관리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VIIRS데이터와 ISS촬영 데이터의 통합으로 고도화된 서울시 빛공해 지도가 제작되었다. 이러한 고해상도 빛공해 지도는 비교적 세밀한 공간단위로 서울시 빛 현황을 분석 가능케 한다. 현재 서울시의 조명환경관리구역은 용도지역을 기준으로 제1종~제4종으로 나뉜다: 상업지역/공업지역, 주거지역, 자연녹지지역, 생태계보전지역. 각 관리구역에는 빛방사허용기준이 지정되어 있으며 나열한 순으로 허용기준 수치가 낮아진다. 본 논문은 고해상도 빛공해 지도를 그래스호퍼 이미지 샘플러 알로리즘을 통하여 현재 조명환경관리구역 구분 기준과 비교하여 현 빛공해 수준 실태를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자치구가 주거지역에 대해 상업지역 못지 않은 빛공해 수준을 보이는데 이는 서울시 주거지역에 대한 상업시설의 침입에 원인이 있다. 특히 제2일반주거지역, 제3일반주거지역과 준주거지역은 제1일반주거지역과 준주거지역보다 훨씬 많은 빛공해를 유발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상업시설이 근린생활시설이라는 범주 안에서 거의 모든 용도가 일반 주거지역에 입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용도지역의 혼합이 곧 빛공해 확산의 원인이 되면서 용도지역으로 조명환경관리구역 구분 관리하고 있는 서울 도심에 빛공해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공업지역 같은 경우 상업지역과 마찬가지로 가장 높은 빛방사허용기준을 갖고 있지만 자치구에 따라 야간에 주거지역보다 낮은 빛공해 수준을 보이기 때문에 자치구의 상황에 따라 더욱 정확한 조명환경관리구역 구분 기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용도지역에 대한 빛방사 수준의 분석을 토대로 도심형 조명환경관리 구분 기준을 위하여 조명환경관리구역에 대한 세분화를 제안하는 바이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assification of Seoul’s environmental lighting zone based on a high-resolution light pollution
map of Seoul. This map was created through a data integration of night time images produced by VIIRS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and ISS (International Space Station). This map provides a detailed space grid of light pollution which allows for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light pollution in Seoul. There are four different environmental lighting zones in Seoul based on land use:
Commercial/Industrial zones, Residential zones, Green zones and Protected natural areas. These zones have corresponding light emission
standards by regulation in which the emission standards decrease in the order listed. Using the Grasshopper Image Sampler Algorithm of the
light pollution map,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current environmental lighting zone regulations agree with the current state of light
pollution level. The result shows that a lot of residential areas of the 25 District of Seoul have the same or even higher light pollution level
than commercial areas. This is because a lot of the residential areas have mix-used facilities where high levels of commercial activities occur
at night, making the city at higher risk of light pollution. In lighting zone 3, residential zones, there is a clear pattern showing that 2nd
class residential zones, 3rd class residential zones and mixed-use residential areas have higher light pollution levels than purely residential
areas and 1st class residential zones. Between commercial zones and industrial zones which are both categorized as lighting zones 4, some
industrial zones have lower light emission levels than residential zones at night depending on the type of business.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lighting sub-zones for areas to have higher or lower light emission standards depending on its local land-use conditions and
commercial activities for a more efficient way to manage and govern light pollution levels at night.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범죄예방디자인 시범사업의 효과 및 주민 만족도 연구
강석진(Kang, Seok-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6 No.11 (202011)
건축물 범죄 안전 디자인 성능에 관한 연구
조영진(Cho, Young Jin) ; 김용국(Kim, Yong Gook) - 연구보고서(기본) : 2016 No.01 (201610)
판교신도시 공유외부공지의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최현원(Choi, Hyun-Won) ; 김승회(Kim, Seung-Hoy)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6 No.11 (202011)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단위평면 채광 및 환기 성능 분석
최재필(Choi, Jaepil) ; 최준호(Choi, Junho) ; 백수연(Baek, Sooyeon) ; 염수(Lian, Shuai) ; 김정우(Kim, Ju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6 No.11 (202011)
서울중앙성원의 계획적 분석과 변화 과정에 대한 고찰
조윤오(Cho, Yun-O) ; 최춘웅(Choi, Cho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6 No.11 (202011)
서울 입정동 일대 도시조직의 적응 유형
우동선(Woo, Don-Son) ; 조윤오(Cho, Yun-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07 (201807)
국내 범죄예방 환경설계 인증제도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임동현(Lim, Dong-Hyun) ; 이경훈(Lee, Kyung-Ho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06 (201806)
[논문] 수도 서울에서 정부종합청사의 입지와 건립
이수민(Lee, Sumin) ; 우동선(Woo, Don-Son)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7 No.2(통권 117호) (201804)
[논문] 계와 동으로 본 서린방의 공간과 사회
이길훈(Lee, Kilhun) ; 우동선(Woo, Don-Son)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7 No.2(통권 117호) (201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