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덴마크 공공도서관 정책의 지향성과 Dokk1 설계지침의 관계에 의한 공공도서관 공간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Method of Public Libraries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 of Danish Public Library Policy and Dokk1 Design Guidelines
저자명 전필규(Jeon, Phil-Gue) ; 박찬일(Park, Chan-Il)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29 No.6(통권 143호) (2020-12)
페이지 시작페이지(108) 총페이지(15)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덴마크 공공도서관 정책; Dokk1; 설계지침; 공간디자인 방법 // Danish public library policy; Dokk1; Mediaspace competition brief; Spatial design method
요약2 South Korea and European countries proposed various public library policies to reinforce user-centered social capabilities to cope with the changing society.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Denmark's Dokk1, which won the 2016 Systematic Public Library of the Year Aw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present a new spatial design method of public librarie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Danish library policy, Dokk1's design competition guidelines, and Dokk1's spatial plan since 2010. With the policies of ‘Nordic Public Libraries 2.0’ and ‘The Public Libraries in the Knowledge Society’, the directivity of Danish library policy in Chapter 2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utonomy’, ‘sustainability’, and’ ‘interactivity’. Dokk1's design competition guidelines suggest a variety of guidelines from city planning to library space and rental facilities. Among these matters, it was limited to the matters of the design guidelines for common spaces, media-use spaces, and culture-education spaces. In Chapter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s of Dokk1's design competition guidelines and the directionality of the policy was examined. In Chapter 4,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guidelines for each space sector considered in chapter 3 was analyzed by substituting them into Dokk1's spatial pla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1)Space design for ‘autonomy’: ①Implementation of space boundaries for convenience and security. ②Securing the diversity of space programs by connecting the electronic space. ③Expansion of the perceptional space experience for users. (2)Space design for sustainability: ①Accommodation of flexible and resilient space programs in a distinctive space. ②Enhancement of flexibilit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3)Space design for ‘interactivity’: ①Improvement of perceptual spatial program awareness. ②Increase of connectivity of space by the recognition of traffic ③Inducing users to participate in the complex space.
소장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최근 국내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김현오(Kim, Hyeon-Oh) ; 김용승(Kim, Yong-Se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6 No.12 (20201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복합화를 위한 건축공간구성 방법에 관한 연구- 렘 콜하스의 도서관 건축을 중심으로 -
변상현;박열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72호 (202011)
[논문] 도서관 건축에 있어서 공공영역 구성에 관한 고찰
김주성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13호 (200508)
COVID-19 이후 뉴노멀 시대의 도서관 서비스 변화로 인한 리좀형 도서관으로의 전환 가능성 연구
이지원(Lee, Jee-Won) ; 유다은(Yoo, Da-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9 (202109)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발전 방향 연구
권지은(Kwon, Jieun) ; 권기윤(Kwon, Giyoon) ; 박현주(Park, Hyunj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5 No.02 (202003)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도서관의 복합화 계획에 관한 연구
최유정(Choi, You-Jeong) ; 윤동식(Yoon, Dong-Sik)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9 No.1(통권 138호) (20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