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국내 다가구·다세대주택에 적용된 가로 접점공간의 계획적 특성 /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Junction space between Houses and Streets Applied to Multi-family Housing in Korea
저자명 김현주(Kim, Hyun-Ju)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01 (2021-01)
페이지 시작페이지(13)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이론
주제어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저층 주거지; 가로 접점공간; 매개공간//Multi-family Housing; Low-rise Residential Area; Jointing Space between Houses and Streets; Intermediate Space
요약1 다가구·다세대주택과 같은 소규모 공동주택은 높은 지가의 도시에서 개인의 삶을 담을 수 있는 유연한 구조의 주거 형식이다. 이러한 주택건물이 들어선 저층 주거지 내 가로공간은 거주자의 다양한 생활행위가 발생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건축물이 가로에 어떠한 방식으로 접하는가는 매우 중요하다. 도심 대안 주거로서의 다가구, 다세대주택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가로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건축전문잡지에 지난 5년간 게재되었던 국내 다가구·다세대주택에 적용된 가로 접점공간의 계획요소를 분석하고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가로 공간적 관점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가로와 접해있는 필지의 성격이 규정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우선 가로에서 출입구에 이르는 과정에서 경험되는 전이공간의 다양한 계획요소들과 필로티 공간과 연계된 인접 대지 이격공간의 개방성은 법적 규제와 상업적 가치에 편중된 논리를 수용하면서도 가로 및 주변과의 소통을 고려한 시도로 해석된다. 가로의 성격을 가장 많이 반영한 계획은 접지층의 시설 프로그램이었다. 둘째, 건축 외형적 관점에서 가로와 연계된 건축물의 형태 및 공간구성을 살펴보았다. 건축가는 법규 제약과 최대 용적을 추구하는 계획적 논리를 활용하면서도 보행자 관점에서 주변과 차별화된 개방적 분위기의 저층부를 계획하였다. 그리고 경사 형태와 마감재료 차이를 이용하여 도시 경관에 대응하는 상층부를 창출하고 있었다. 이러한 저층부와 상층부의 볼륨과 형태 차이로 생성된 외부공간은 거주자 간의 소통을 위한 매개공간으로도 활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2~3층에 배치된 단위세대들까지 이러한 외부공간을 갖도록 계획하기에는 현실적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요약2 Street spaces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are places where various lifestyle activities of residents occur. So it is very important how the
buildings and street relate to each other. It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multi-family housing as an urban alternative housing, and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street. Therefore, in this study, I analyze and derive characteristics of the planning elements of street
junction space between houses and street applied to multi-family housing, which were published in architectural magazines for the past five
years. First, in the aspect of street space, it was analyz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parcels in contact with the streets were defined. The
various planning elements of the transition space between the street and the entrance, and the openness of the separation space from adjacent
site connected to the pilotis accommodates the logic focused on legal regulations and commercial values. It can be explained as an attempt
considering communication with streets and surrounding area. The planning that most accommodates the character of street is the facility
program on the first floor. Commercial facilities and community facilities were planned for the active ‘collection road’ and ‘local road’ in the
neighborhood residential area, and rental offices or alpha rooms were planned for ‘residential alley’ with private atmosphere. The more public
the street was, the more clearly the entrance to the upper residential area was separated from the commercial space in terms of location,
shape and space. Second, in the aspect of architectural exterior, the shape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building connected to the street
were examined. The architect used the legal constraints and the design logic to pursue the maximum volume. Nevertheless, from the
perspective of pedestrians, it was possible to plan the lower floors with an open atmosphere differentiated from the surroundings. And by
using the slope shape and different finishing materials, the upper part corresponding to the urban landscape was created. The spaces and gaps
created by the difference in volume and shape of the lower and upper floors were also used as an intermediary space for communication
between residents and neighbor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한 건축 계획적 대응 방안 연구
김민석(Kim, Mins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2 (202102)
공동주택 사적 외부공간의 계획적 특성
김현주(Kim, Hyun-Ju)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6 No.02 (202002)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