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부산 피란마을의 공간적 특성과 주민 인지성 연구 - 감천문화마을, 우암 소막마을을 대상으로 - /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 and Perception of Residents in Busan’s Refugees Village - Focused on Gamcheon Culture Village and Uam Somak Village -
저자명 손영림(Young-Rim Son) ; 유재우(Jae-Woo Yoo)
발행사 한국주거학회
수록사항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32 No.1 (2021-02)
페이지 시작페이지(33) 총페이지(8)
ISSN 2234-3571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피란마을; 감천문화마을; 우암 소막마을; 인지공간; 스케치 맵 // Refugees Village; Gamcheon Culture Village; Uam Somak Village; Cognitive Space; Sketch Map
요약1 본 연구는 피란민들의 역사적 삶이 누적되어 있는 생활문화사적 가치를 갖는 마을을 대상으로 거주민의 심상 속에 잠재되어 있는 인지적 공간과 마을의 물리적 환경, 길 등과의 인지적 관계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피란시절의 독특한 생활상을 확인할 수 있는 경사지 감천문화마을과 해안변에 위치한 소막마을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바탕으로 케빈 린치(Kevin Lynch)의 ‘이미지화(imageability) 가능성’에 근거하였다. 연구 내용은 첫째 피란민들의 삶의 흔적으로써 역사적 가치를 지닌 마을을 선정하여 형성되어 온 배경과 물리적 공간구조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주민들의 인지적 공간에 잠재된 환경이미지를 스케치맵을 통해 분석하여 표면적으로 들어나는 물리적 형태의 특징을 추출한다. 셋째, 주민들의 스케치맵을 종합한 집단이미지를 만들어 인지공간과 사회적 역할의 관계에 대한 의미와 그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두 마을의 스케치맵 비교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 마을 공간의 영역성(Territory)과 마을의 결절점(Nodes)과 경계(Edge)에 대한 인식 차이를 도출하였다. 마을의 방향성을 갖는 통로(Path) 개념과 나타난 다양한 장소(Landmarks)인지성에 대한 특성을 종합하였고 과거 장소들은 일부 사라졌지만 주민의 잠재된 인지 속에서 과거의 공간에 대한 기억이 지속되고 있는 특성을 도출하였다.
요약2 Busan’s modern historical values are traces of community life in which refugees built their homes to survive during the Korean War. Gam-cheon Culture Village and U-am Village, which are the targets of this study, differ in their historical background and formation process. In addition, Located at the foot of the mountain and on the beach, the two villages can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rain. The sketch map was collected based on Kevin Lynch's potential for ‘imageability’. Through the sketch map,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environment inherent in the residents’ memories were analyzed. Various environmental images are installed in the cognitive space, and in ‘imageability’, five elements of the city’s image could be foun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ast space is maintained in the residents’ memories. Exploring social spaces is an important issue for urban environmental change, and research will continue to be conducted to protect the village identity.
소장처 한국주거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부산 피난이주지 소막마을의 형성과정과 변화특성
박효민(Park, Hyeon-Min) ; 박재홍(Park, Jae-Hong) ; 김준(Kim, Jun) ; 유재우(Yoo, Jae-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30 n.9 (201409)
일본의 보찌보찌나가야 다세대공동주택의 유형학적 특성 연구
이연숙(Lee, Yeun-Sook) ; 전은정(Jun, Eun-Jung) ; 김민주(Kim, Min-Joo) ; 안소미(Ahn, So-Mi)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28 No.4 (201708)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우암동 소막마을의 주거환경개선 계획안
변수정(Byeon, Su-Jeong) ; 이길임(Lee, Gill-Im)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7 No.2 (201710)
노인주거계획을 위한 노인가구의 고령기단계에 관한 연구
조성희 ; 전은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0 n.5 (200910)
일본 정부와 민간의 육아지원 공동주택 가이드라인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이연숙(Lee, Yeun-Sook) ; 전은정(Jun, Eun-Jung) ; 안소미(An, So-Mi)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6 No.2 (20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