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노인요양병원 병실 치유환경디자인 체크리스트 중요도 분석 - 한국/중국의 의료서비스/디자인 전문가 중요도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 Importance Analysis on the Healing Environment Design Checklist for Geriatric Hospitals -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cognition of Korea/China and medical service and design experts -
저자명 고가로(JjaLu Gao) ; 김인성(In-Sung Kim)
발행사 한국주거학회
수록사항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32 No.1 (2021-02)
페이지 시작페이지(81) 총페이지(10)
ISSN 2234-3571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노인요양병원; 치유환경디자인; 한국과 중국; 의료서비스/디자인 전문가 // Geriatric Hospital; Healing Environment Design; Korea and China; Medical/Design Expert
요약1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병실 치유환경디자인의 관점에서 한국과 중국, 의료서비스와 디자인 분야 전문가의 중요도 인식의 차이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노인요양병원 병실 치유환경디자인 체크리스트’의 4개 대분류 범주의 48개 세부 항목별 중요도를 5점 리커트 방식으로 평가하는 설문을 각 그룹별 30명, 총 12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로 기술통계 및 독립표분 t-검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여러 그룹간의 교차비교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중요성 결과의 대분류별 평균값을 전체평균, 전문분야별, 국가별로 비교하였다. 전체 평균에서는 미학과 디자인, 자연 친화성의 두 범주 평균이 낮고, 프라이버시, 커뮤니티와 정보접근성의 두 범주가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디자인 전문가와 중국 전문가가 의료서비스 전문가와 한국 전문가에 비해 높은 중요성 인식을 보였다. 에 근접하는 수치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각 항목별 중요도 인식에 대한 전체 120개 표본의 평균 결과 값을 분석하였다. 48개 항목 중 대체로 높은 중요도를 보인 항목들은 어느 정도 객관성과 실행가능성이 높은 항목들로 나타났고, 문화적이고 정성적인 항목들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의료진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호출기설치’가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었고, ‘친수공간의 배치’가 전체 항목 중 가장 낮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셋째, 전문분야별 인식 비교를 위해 의료서비스 전문가의 결과와 디자인 분야 전문가의 결과 값을 비교분석하였다. 총 9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전문분야의 성격이 그대로 반영되어 디자인 전문가는 계획적 측면의 항목들에 높은 중요도를 부여한 반면, 의료서비스 전문가는 병원에서의 실생활 관련 항목의 중요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중국의 국가별 인식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한국은 여가생활을 위한 서비스와 공간적 쾌적성을 중시한 반면, 중국은 디자인과 자연주의적 접근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2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ce-recognition of the healing environment design elements for the hospital room of the geriatric hospital. Four experts groups with 30 people each from Korea and China, medical service and design field were surveyed for the comparative examination. The survey used a 5-point Likert method applying ‘Healing Environment Design Checklist for Geriatric Hospitals’ suggested through prior research. The results of cross-comparison analysis between various group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s of the two categories of ‘Beauty and design’ and ‘Biophilia’ were low, while ‘Privacy’ and ‘Community and information’ showed high importance. Second, Among the 48 items, items with high importance were found to have high objectivity and feasibility, while the importance of cultural and qualitative items was relatively low. Third, design experts gave high importance to the planning aspect, while medical service experts had higher importance in real life-related items in hospitals. Lastly,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Korea and China was compared and analyzed. Overall, while Korea placed emphasis on services and spatial comfort for leisure life, China showed high preference for design and naturalistic approaches.
소장처 한국주거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환자 안전을 고려한 노인요양병원 실내건축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전수경(Chun, Soo-Ky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12 (2021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정신건강을 위한 노인요양병원 병실 치유환경디자인 체크리스트 개발
고가로(Gao, JiaLu) ; 김인성(Kim, In-Sung)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9 No.4(통권 141호) (202008)
초고령화 시대에 대비한 요양병원 건축계획 - `이용자 편의시설`을 중심으로 -
최민석(Choi, Min-Seok) ; 김동훈(Kim, Dong-Hoon)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9 No.1 (201904)
공공 노인요양병원 다인실 치유환경 평가
전수경(Chun, Sookyung) ; 남경숙(Nam, Kyongsook)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8 No.2(통권 133호) (201904)
배회행위를 지원하는 치유를 위한 노인요양병원 보행환경 평가 및 개선안 연구
전수경(Chun, Soo-Kyung) ; 김수란(Kim, Soo-R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5 (202205)
노인요양병원 병동부 동선구조에 따른 위계분석 연구
허유희(Heo, Youhee) ; 이행우(Lee, Heangw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6 No.05 (202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