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공도서관의 기능변화에 따른 건축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rchitectural Spat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al Changes of Public Library
저자명 강재중(Jaejoung Kang)
발행사 한국주거환경학회
수록사항 한국주거환경학회 논문집 <주거환경>, Vol.17 No.4(통권 제46호) (2019-12)
페이지 시작페이지(167) 총페이지(13)
ISSN 17380316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복합화; 공간구성; 시애틀중앙도서관; 지역대표도서관 // Public Library; Complex Program; Spatial Composition; Seattle Central Library; Regional Central Library
요약1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 밀착공간으로서 다양한 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지역 공공 복합 문화시설로 변화하고 있다. 현대사회의 기술·문화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공공도서관은 정보 제공·전달 뿐만 아니라 이용자 중심의 다양한 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복합적인 이용행위가 일어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사회적 변화와 다양한 요구에 의해 발생한 공공도서관의 복합화되는 프로그램 경향은 단순히 기존의 기능에 새로이 요구되는 기능들을 첨부하여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들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새로운 공간에 대한 요구라고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요소들의 상호관계 변화를 통해 복합화된 프로그램들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공공성 증진을 위한 건축계획 요소와 복합화된 공간의 주요 특징인 공간결합에 대한 유형을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즉, 공공성이라는 목적을 위해 다양한 기능의 공간들이 어떠한 방법으로 결합하여 나타나고 있는지 구분하고, 그 건축적 공간구성 방법들을 이용자 중심 공간 위주로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도서관의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들에 따른 새로운 공간구성 방법을 제안한 렘 쿨하스(Rem Koolhaas)의 시애틀 중앙도서관을 우수사례로 선정하고 규모적으로 유사한 국내의 지역대표도서관을 비교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최근에 계획된 국내 공공도서관들이지만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을 위해 기능별 소요공간들을 복합화하기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밍이 제대로 시도되지 못하고 단순히 각각의 기능별 독립공간을 조합하는 형태로 계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공도서관 건립 기본계획 단계에서부터 관리자 측면의 공간구성요소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설계지침을 만들 것이 아니라 이용자 중심의 다양한 기능들을 복합화시킬 수 있는 공간연출 하는 것을 주요설계 지침으로 설정함이 필요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요약2 Public libraries are becoming resident-friendly spaces and important regional cultural facilities that provide diverse cultural services. According to the functional changes that require diversity, the complexity of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is not simply an extension of existing functions with new functions, but a demand for a new space where various functions are mix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complex programs through the change in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spatial components of public libraries. The architectural elements(openness, accessibility, connectivity) representing the publicness in public libraries and the type of spatial combination(remote, touched, connected, meshed, unified), are set as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 other words,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how the spaces for various functions are combined for the pursuit of publicness, and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approaches in detail. In this study, Seattle Central Library is selected as the case study which proposed a new method of organizing spaces according to the complex and diverse functions of the library, and is compared to regional central libraries in Korea. As a result, although domestic public libraries are recently designed, new programming of complex spaces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libraries still needs to be accommod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et up the main design guidelines for architectural spatial composition that can combine user-oriented various functions from the schematic design stage of public library construction.
소장처 한국주거환경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논문] 도서관 건축에 있어서 공공영역 구성에 관한 고찰
김주성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13호 (200508)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최근 국내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김현오(Kim, Hyeon-Oh) ; 김용승(Kim, Yong-Se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6 No.12 (202012)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발전 방향 연구
권지은(Kwon, Jieun) ; 권기윤(Kwon, Giyoon) ; 박현주(Park, Hyunj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5 No.02 (202003)
도서관 건축의 전이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배동식(Dongsig Ba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3 (201706)
시애틀공공도서관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건축디자인 과정에서의 담론과 참여를 통한 공공성 구현
김승범(Kim Seung-Bum) ; 김광현(Kim Kwang-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8 n.02 (20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