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복합환승센터의 도시공간상 유기적 연계 특성에 관한 연구 - 샌프란시스코의 트랜스베이 트랜싯 센터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Connectivity in Urban Space of Intermodal Transit Center - Focused on Transbay Transit Center in San Francisco -
저자명 박용서(PARK, YONG SEO); 정용화(YONGHWAJUNG)
발행사 한국주거환경학회
수록사항 한국주거환경학회 논문집 <주거환경>, Vol.18 No.1(통권 제47호) (2020-03)
페이지 시작페이지(257) 총페이지(15)
ISSN 17380316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트랜스베이 트랜싯 센터; 복합환승센터; 입체복합공간; 교통기반시설 // Transbay Trasit Center; Intermodal transfer station; Mixed-Use Development; Traffic-Infrastructure
요약1 샌프란시스코 트랜스베이 지구에 최초로 도입되는 고속철도 중심 복합환승센터인 트랜스베이 트랜싯 센터는 과거 철도시설 중심의 물리적 개발들에 있어 점진적인 진화 과정을 통해 압축도시 개발모형, 뉴어바니즘, 복합용도의 입체복합개발, 대중교통중심개발, 장소성 부각 등에 입각하여 사회ㆍ문화ㆍ환경 등을 융합화하는 지속가능한 TOD(대중교통지향형 개발) 기반의 개발의 흐름들로 전환되고 있다. 첫째, 도시적 측면에서는 인접한 지구들과의 공간적 통합을 넘어 샌프란시스코 전역에 걸쳐서 유기적인 통합의 양상이 두드러지며, 도시 성장의 거점으로 위상을 확립하기 위한 개발들로써 스카이라인의 거시적 경관 형태 및 교통의 결절점, 오픈 스페이스 계획을 통해 도시의 중심성을 트랜스베이 트랜싯 센터로 변천시키고 있다. 둘째, 건축적 측면에서는 건물 위주의 개별 시설 구축적 개발 방식을 벗어나 다양한 교통수단들간 혼성적인 구성의 접근체계를 통한 배치계획적 접근의 양상이 두드러지며, 복합기능들과 입체적으로 연계되고 있다. 셋째, T-Hub(교통 허브) 기반의 입체복합공간 개발이라는 측면에서는 건축물과 교통인프라스트럭쳐가 혼성되는 방식으로 통합적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3가지 측면들을 토대로 기존 TOD나 복합환승센터의 개념들과는 차별화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요약2 The Transbay Transit Center, the first high-speed railway-centered intermodal transit center to be introduced in San Francisco’s Transbay District, is transforming, as a gradual evolution of the former physical development centered on railway facilities, into a trend of sustainable TOD(Transit-Oriented Development)-based progress that unites society, culture, and environment based on compact city models, new urbanism, and mixed-use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First, from the urban perspective, the pattern of organic integration across San Francisco, beyond spatial integration with adjacent districts, is striking, and moves are under way to establish its status as a hub of urban growth, transforming the urban center into the Transbay Transit Center through the form of macro landscapes, traffic nodules in the skyline, and open space planning. Second, on the architectural side, the aspect of the layout planning approach through a mixed-component approach between various traffic-system means, rather than building-oriented individual facility-architecture development methods, is highlighted and three-dimensionally linked to mixed-use functions. Third, concerning transport-hub-based mixed-use developments, architecture and transport infrastructure serve as an integrated interface and are mixe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se three viewpoints, the development is differentiated from the concepts of existing TOD and the intermodal transit center.
소장처 한국주거환경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철도역사 복합환승센터 계획에 관한 연구
석영석(Seok, Young Seok) ; 강철희(Kang, Chul Hee)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8 No.1 (201804)
철도중심 광역 복합환승센터의 공간 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용서(Park, Yong-Seo)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ol.19 n.02 (통권78호) (201704)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지역문화시설로서의 복합환승센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김기준 ; 공순구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34 n.2 (201410)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개발계획안의 문제점 도출에 관한 연구
김진아(Kim, Jin-Ah) ; 박용서(Park, Yong-Se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1 No.07 (201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