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공간복지 리빙랩으로써 SH청년건축가 프로젝트의 가치 / The Value of the SH Youth Architects’ Project as the Space Welfare Living Lab for the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저자명 양지원(Yang, Ji-Won) ; 유해연(Yoo, Hae-Yeo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03 (2021-03)
페이지 시작페이지(75)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도시 / 계획및설계
주제어 리빙랩; 지속가능성; 도시재생; 청년건축가; 빈집 // Living-Lab; Sustainability; Urban Regeneration; Young Architecture; Vacant House
요약1 본 연구는 SH서울주택도시공사가 2019년부터 2020년까지 공간복지를 목표로 지원하고, 이후 청년건축가와 주민이 함께 공간을 운영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삼은 ‘SH청년건축가 주도형 공간복지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분석하여 향후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공간복지 리빙랩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 분야에 리빙랩 모델이 도입된 배경을 알아보고, 리빙랩으로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정의들을 정리, 분석하였다. 둘째, 국내 대표적인 리빙랩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셋째, SH청년건축가 주도형 공간복지 프로젝트의 배경 및 목적을 밝혔다. 넷째, SH청년건축가 주도형 공간복지 프로젝트 사례분석을 통해 현황 및 한계점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돕기 위해 공간복지 리빙랩 모델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ase of a start-up living lab led by SH Corporation, which can be operated by young architects
and residents,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ase of SH Corporation-led start-up Living Lab,
which can be operated by young architects and residents together, and to suggest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sses. First, the definition and background of Living Lab were analyzed. Second, representative cases of domestic living lab
operation was analyzed. Third, it revealed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H Youth Architect Project. Fourth, the current statu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living labs operated by young architects were analyzed. Finally, the direction of living lab model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as proposed.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2025년 의무화 로드맵에 따른 공공시설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 시장 수용성
이승민(Lee, Seung-Min) ; 김진호(Kim, Jin-Ho) ; 신광수(Shin, Gwang-Su) ; 김의종(Kim, Eui-Jong) -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 Vol.12 No.6 (2018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