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빈집 밀집 지역 특성 및 유형 분류에 관한 기초연구 / Basic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and Type Classification of Vacant House Dense Areas
저자명 이소영(Lee, So-Yeong) ; 주희선(Joo, Hee-Su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03 (2021-03)
페이지 시작페이지(87) 총페이지(8)
ISSN 2733-6247
주제분류 도시 / 계획및설계
주제어 도시쇠퇴; 구시가지; 빈집 유형; 물리적 실태; 빈집 발생 원인; 지역적 특성 // Urban decline; Old Town; Type of Vacant House; Physical condition; Causes of Vacant House; Regional Characteristics
요약1 지방 중소도시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빈집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의 쇠퇴와 함께 도시의 사회적ㆍ경제적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혁신도시조성 이후 다핵화 구조가 되어 인구감소 및 기능의 분화가 발생하고 있는 진주시 구시가지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진주시 구시가지는 여러 가지 경제ㆍ사회ㆍ물리적 영향으로 인한 원인과 결과로 불량ㆍ노후 단독주택 빈집 문제가 심각하다. 그러므로 지역별 빈집의 유형을 구분하고 특성을 규명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주시 구시가지 천전동, 상봉동, 중앙동, 성북동의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빈집 실태를 파악한 뒤, 등급을 산정하여 유형을 분류해 보고, 각 빈집 유형의 지역적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자료는 진주시 지자체에서 제공한 불량 노후ㆍ단독주택자료를 토대로 빈집의 분포를 파악하였으며, 이는 담당 공무원들의 직접 조사 내용에 기반하여 점 데이터로 가공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지역 특성, 지역사회 특성, 빈집 발생 특성 등을 파악하였고, 유형 분류에 있어서는 빈집 실태조사 지표를 바탕으로 등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지의 범위가 진주시 구시가지로 한정되어 있어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지만, 지역에 따라 빈집 유형에 차이가 나타남을 밝힌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로는 실태지표의 객관성과 공간효과에 대한 분석을 같이 수행할 예정이다.
요약2 Vacant houses, which have emerged as a problem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provincial areas, continue to increase, and are
seriously threatening the social and economic stability of cities along with the decline of cities. This study selected the old town of Jinju
City, where population decline and functional differentiation occurred due to multinuclearization after the creation of the innovative city. The
old town of Jinju City needs to distinguish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vacant houses by region because the problems of poor and old
detached houses are serious due to various economic, social, and physical effe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 of vacant homes based on field surveys in the old town of Jinju City, Cheonjeon-dong, Sangbong-dong, Jungang-dong, and
Seongbuk-dong, and then classify the types by calculating the grade, and to deriv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vacant house type. The
distribution of vacant houses was determined based on the data of defective old houses and detached houses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in Jinju City, which were processed as point data based on the direct investigation by the officials in charge. Through on-site surveys,
regional characteristics, local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vacant home occurrenc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nd for classification of
types, the grad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vacant home survey index.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old town of Jinju City, so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is limited, but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differences in the types of vacant houses depending
on the region. As a follow-up study, an analysis of the objectivity and spatial effects of actual indicators will be conducted together.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영국의 빈집정비 정책 및 사례 연구
박진경(Park, Jin-Kyung) ; 권혁삼(Kwon, Hyuck-Sam)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1 No.1(통권 제97호) (202002)
쇠퇴지역 빈집 특성 및 빈집 재생 시사점
박성남(Park, Sungnam)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9 No.1(통권 제85호) (201802)
노후주거지 빈집 활용을 통한 지역재생 방향 연구
유해연(Yoo, Hae-Yeon) ; 이영범(Reigh, Young-Bum) ; 윤혜영(Yoon, Hye-Ye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6 No.07 (202007)
일본의 보찌보찌나가야 다세대공동주택의 유형학적 특성 연구
이연숙(Lee, Yeun-Sook) ; 전은정(Jun, Eun-Jung) ; 김민주(Kim, Min-Joo) ; 안소미(Ahn, So-Mi)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28 No.4 (201708)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한 건축 계획적 대응 방안 연구
김민석(Kim, Mins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2 (202102)
2025년 의무화 로드맵에 따른 공공시설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 시장 수용성
이승민(Lee, Seung-Min) ; 김진호(Kim, Jin-Ho) ; 신광수(Shin, Gwang-Su) ; 김의종(Kim, Eui-Jong) -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 Vol.12 No.6 (201812)
지역별 빈집의 유형화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부산·울산·경남을 중심으로 -
성춘모(Sung, Chun Mo) - 한국주거환경학회 논문집 <주거환경> : Vol.17 No.2(통권 제44호) (201906)
노인주거계획을 위한 노인가구의 고령기단계에 관한 연구
조성희 ; 전은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0 n.5 (2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