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프리츠커상 수상자의 작품에 나타난 바이오필릭 디자인 패턴에 관한 연구 / Biophilic Design Patterns in Architecture Designed by the Pritzker Architecture Prize Laureates
저자명 강준경(Kang, Junekyung) ; 안동준(Ahn, Dong-Joo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04 (2021-04)
페이지 시작페이지(45)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바이오필리아; 바이오필릭 디자인; 디자인 패턴; 프리츠커상 // Biophilia; Biophilic Design; Design Patterns; Pritzker Architecture Prize
요약1 바이오필릭은 자연의 가치를 중시하고 본능적으로 사랑하는 인간의 심리인 바이오필리아(Biophilia)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심리로 인해 사람들은 자연과 가까이 하고 싶어하며, 현대인들이 실내 공간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자연을 내부 공간에 도입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바이오필릭 디자인 패턴을 제시하여 바이오필릭 건축계획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지만,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건축 계획방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또, 기존 건축물 사례들은 유사하고 한정된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활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한 건축계획을 더욱 활성화하고 다양화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건축분야에서 인정받은 건축가들에게 수여되는 프리츠커상 수상자들의 작품을 분석하여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건축계획 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하고자 하는 건축가들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요약2 As human beings inherently value nature, attempts are continuously being made to introduce nature into buildings. In previous studies,
Biophilic design patterns were presented to provide the basis for Biophilic architectural planning. However, existing building cases are
applying these patterns through similar and limited methods. Therefore, studies that can introduce various and creative planning methods for
designing biophilic buildings are needed. This study aims to present planning methods for designing Biophilic buildings by analyzing works
of architects, who were laureates of the Pritzker Architecture Prize. Cases were analyzed to examine planning methods of applying Biophilic
designs to archite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architects to design Biophilic buildings
which provide environments that connect with natur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치유환경을 위한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 사례 분석
박지민(Jimin Park) ; 이재규(Jae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3 No.01 (201802)
아모레퍼시픽 사옥 설계사례
최도석 - 설비저널(대한설비공학회지) : Vol.47 No.12 (2018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바이오필릭 디자인에 의한 수공간의 공간구조 연구
조능혜(Zhao, Linghui) ; 이재규(Lee, Jae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7 No.05 (202208)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