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1950~1970년대 국민주택 담론과 개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scourse and Concept of National Housing in the 1950s and 1970s
저자명 신운경(Shin, Woon-Kyung)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04 (2021-04)
페이지 시작페이지(105)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국민주택; 중산층; 주택건설촉진법; 표준설계; 담론; 개념; 주거문화; 1950~1970년대 // National Housing; Middle Class; Housing Construction Promotion Act; Standard Design; Discourse; Concept; Residential Culture; 1950s and 1970s
요약1 본 연구는 1950~1970년대 한국 국민주택 담론의 전개 과정을 공시적 시선으로 분석하고, 국민주택 개념을 통시적 흐름에 따라 그 특징과 의미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국민주택에 대한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 한국의 역사적 흐름에서 국민주택이 차지하는 주거의 보편사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1950년대 국민주택 담론과 개념은 제한적 국민주택 공급으로 민영주택의 상대적 개념의 공공주택으로 인식되었고, 정부는 전국 주택설계 현상모집을 통해 미래의 모범적 국민주택 모델을 간접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 국민주택의 전국적 확산은 규격화된 삶의 표준화라는 왜곡된 주거인식이 형성되는 단초가 되었다. 1970년대 국민주택은 ?주택건설촉진법?의 제정과 중산층의 성장에 따라 주택 규모와 유형이 이원화되었고, 주택 금융화에 따른 주택기금 융자의 새로운 기준으로 작동되었다. 1950~1970년대 국민주택은 초기 일반 국민의 주택문제를 해결하고, 대량생산의 수단으로 시작되었으나 주택유형별 국민주택 규모가 제도화되면서 규격화된 삶의 표준화를 표상하는 개념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국민주택 개념과 건축적 공간, 형태는 초기의 동일한 등가물에서 분리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변화는 국민주택이 내포하는 이상적 개념과 현실 세계의 괴리를 확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요약2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discourse of Korean national housing in the 1950s and 1970s with a synchronic
perspective, and grasp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concept of national housing according to the diachronic flow. Through this, it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on national housing in Korea and derived the universal meaning of housing occupied by national housing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 The discourse and concept of national housing in the 1950s was recognized as public housing in the relative
concept of private housing due to the limited supply of national housing, and the government sought to indirectly utilize the model of future
national housing through the National Housing Home Design Contest. The nationwide spread of national housing in the 1960s formed the basis
for the distorted residential perception of standardization of life. In the 1970s, the size and type of housing were dualized according to the
enactment of the Housing Construction Promotion Act and the growth of the middle class, and it was operated as a new norm for housing fund
loans due to housing financing. The national housing in the 1950s and 1970s began as a means of mass production and solved housing
problems of the general nation in the early days, but changed to the concept representing the standardization of life as the size of national
housing by housing type was institutionalized. In addition, the concept of national housing and architectural space/form began to be separated
from the same initial equivalent, and this change resulted in widening the gap between the ideal concept of national housing and the real world.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1950-60년대 한국건축의 기술적 담론에 관한 연구
정인하(Jung In-H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1 (200601)
소통공간의 관점에서 고찰한 "움직임의 건축"
서정일(Seo, Jeongi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11 (201811)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1930년대 말 서울의 양관에 대한 연구
허유진(Huh, Yoo-Jin) ; 우동선(WooDon-S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7 (201307)
미네소타 프로젝트
박동민(Park, Dongm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09 (201809)
1946년 조선건축기술단 주최 국민주택 설계도안 현상모집의 재고찰
김용범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2 n.6 (2011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논문] 건축가 김정희와 평양시 복구 총 계획도: 신화와 역사
박동민(Park, Dongmin)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7 No.2(통권 117호) (201804)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온돌에 대한 인식변화와 온돌개량
강상훈(Kang Sang-Ho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11 (20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