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플래그십 스토어의 인터랙티브 환경적 경험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Interbehaviorive Amibent User Experience of Flagship Stores
저자명 이정민(Lee, Jeongmin) ; 최익서(Choi, Ikse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5 No.06 (2020-09)
페이지 시작페이지(103) 총페이지(14)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플래그십 스토어; 브랜드 체험공간; 인터랙티브; 환경적 경험(AUX); 경험이론 //Flagship store; Brand experience space; Interactive; Environmental experience; Theory of experience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배경으로 급속히 변화하는 유통산업에 따라 소비자들의 소비 기준도 개성화되고 있다. 그래서 오늘날 소비자들은 온라인 중심으로 소비 형태가 변하면서 상품 판매보다 브랜드 경험에 무게를 둔 체험형 오프라인 공간에 접근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은 판매형 오프라인 공간을 줄이고 오랜 시간 머물게 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체험’을 유도하는 흐름이 더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체험형 공간이 대두되고 있음에 따라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춰 체험형 오프라인 공간에 인터랙티브 디자인의 연구를 통해 소비자에게 다양한 방식의 소통과 경험 창출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라 예측한다. 이를 위하여 소비자의 경험으로 상호작용 하는 브랜드 체험공간을 디자인을 향상시키고자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기반으로 플래그십 스토어에 내재된 환경적 경험디자인 특성과 중요도를 나열하여 이에 대한 가치를 재인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자료 분석을 통해 플래그십 스토어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공간에서의 환경적 경험디자인 (Amibent User Experience)에 대해 정의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환경적 경험디자인 특성을 알아보고, 인터랙티브 디자인 도입으로 인해 소비자와 브랜드간의 기능이 효과적인 국내,외 플래그십 스토어 사례에서 나타난 환경적 경험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한다. 끝으로 사례의 평가 및 다이어그램 분석으로 그 결과에 따른 특성과 중요도를 살펴본다. (결과) 사례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환경적 경험디자인의 구성요소는 연상성, 정보성, 비일상성, 감각자극성, 그리고 역동성과 상호작용성의 순서로 그 항목에 있어 중요도가 높았다. 이는 소비자의 환경적 경험디자인에 기초한 플래그십 스토어내에 연상성과 정보성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플래그십 스토어는 소비자에게 브랜드의 고유의 이미지를 통해 경험 자극을 제공해야 하며,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와 경험해보지 못한 경험과 기억을 자극하여 구매행위를 유발하는 요소의 제공이 필수인 것이다. (결론) 결국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기반 플래그십 스토어의 공간 구성요소 관점에서의 소비자의 체험과 경험을 통하여 환경적 경험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는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 및 아이덴티티 효과를 가져다주는 플래그십 스토어에서의 환경 구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플래그십 스토어는 소비자와의 소통, 그리고 공간 내에서 소비자가 경험할 때 나타나는 환경적 경험디자인 특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에 따른 발전 되어지는 연구를 지속해야 할 것이다. 향 후 플래그십 스토어 내 다양한 인터랙티브 기술 도입으로 인하여 소비 가치는 다양한 시도를 통하여 점차 발전되어 질 것이고,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해줌으로서 플래그십 스토어가 가진 전략적인 가치가 향상 될 것이다.
요약2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Against the backdrop of this study, consumers' consumption standards are also being individualized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distribution industry. So, These days, customers approach experience-offline space focusing on brand experience rather than product sales, as their consuming behaviors turn into online shopping. Following this trend, companies tend to reduce sales-focused offline shops and induce customers to ‘experience’ brands by keeping them for a long time. As this experiencing space emerges, it is estimated to maximize various kinds of communication and experiences for customers, through the study of interbehaviorive design, to go along with changing times.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rediscovering amibent user experience in flagship stores based on interbehaviorive design, by listing its features and importances, which is to improve the design of brand-experiencing space that interacts with consumers’ experience.(Methods of the Study) Therefore, this study learned about the concept of flagship store by analyzing documents and preceding studies, and defined amibent user experience in space. This study learns about features of amibent user experience through preceding studies, and analyzes the features of amibent user experience presented in domestic and overseas flagship store cases where functions of consumers and brands are effective by introducing interbehaviorive design. In the end, it sees the features and importance of the results after appreciating the cases and analyzing diagrams. (Results) The results of case study is following. First of all, the components of amibent user experience were important in the order of association, information, non-daily life, sense-motivation, dynamics and interaction. Through this, it has been obvious that association and information based on amibent user experience in flagship store are closely related. In other words, flagship store must motivate consumers with experiences through the unique image of brands, and it its essential to cause them to buy goods by stimulating them with new information, experiences and memory. (Conclusion) In the end, studies on amibent user experience are needed through consumers’ experiences from the view of flagship stores based on interbehaviorive design. And this would make flagship stores enable to establish an environment that brings positive brand image and identity. In addition to that, flagship store should learn about the importance of amibent user experience that comes from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in the space, and should go on pertinent studies. Consumption value would gradually rise through various trials due to various interbehaviorive techniques in flagship stores in the future, and strategic value of flagship stores would rise by offering distinctive brand experience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브랜드 경험요소를 적용한 패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특성연구
장윤정(Jang, Yunjeong) ; 이정(Lee, 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5 No.08 (2020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패션 브랜드 호텔 입구 공간의 브랜드 로고 적용 방식 연구
김지현;최정아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6호 (201905)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의 브랜드스케이핑 특성에 관한 연구
이목영(Lee, Mokyoung) ; 정재윤(Chung, Jae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7 No.01 (202202)
SANAA 건축의 경계와 프라이버시에 관한 연구
임진우(Lim, Jinwoo)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1호 (201802)
장 누벨 건축공간에 나타난 빛의 장소적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황윤희 ; 윤상영 ; 윤재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1 n.6(통권 95호) (20121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