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를 활용한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시나리오 콘셉트 발굴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Discovering the Concept of a Future Autonomous Vehicle Interior Space Scenario Using Lego Serious Play
저자명 이덕찬(Lee, Deokchan) ; ()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5 No.07 (2020-10)
페이지 시작페이지(101) 총페이지(14)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자동차; 자율주행; 실내공간;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 디자인 프로세스 //Automobile; Autonomous Driving; Interior Space; Lego Serious Play; Design Process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자율주행 자동차 시대에서 실내공간의 의미는 기존의 운전자 중심의 안전한 이동을 위한 공간에서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또한 미래의 모빌리티는 운전이 아닌 탑승 경험을 중시한 서비스가 될 것이며 제품 하나하나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도시전체가 하나로 이어진 다양한 서비스들의 거대집합이며 디자이너는 이러한 역할에 맞춘 자율주행 실내공간 시나리오를 제안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잘 알려진 서비스 디자인 방법의 하나인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를 기반으로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례연구를 통한 적합성의 확인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하여 미래 모빌리티의 필수 요소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를 완성차 업계에서 발표한 미래 모빌리티 콘셉트에 맞춰 비교, 분석하여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 필요한 세 가지 내용적 요소와 세 가지 방법적 요소를 정의한다. 다양한 사용자 경험의 제공, 사용자의 탑승 경험을 중시한 서비스, 그리고 도시 전체와 자율주행 실내공간의 연결성이 정의된 세 가지 내용적 요소이다. 세 가지 방법적 요소는 대규모 개발 및 기존의 사고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 다양성을 존중하는 전략적이며 더 큰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 그리고 여러 전문가들과 협업을 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정의된 여섯 가지 요소에 기반하여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의 적합성을 선행 사례 고찰 및 문헌연구를 통해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를 적용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시나리오 콘셉트 발굴 사례 연구를 진행한다. (결과)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를 활용한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워크샵을 진행하여 여섯 개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고 결과 분석을 통하여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의 문제 해결 및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안할 수 있는 아이디어 생성 툴로서의 역할과 시각화 툴로서의 역할을 시나리오 개발 프로세스에 적용하면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시나리오 개발의 핵심이 되는 세 가지 내용적 요소와 세 가지 방법적 요소를 충족시키는 방법으로의 적합함을 사례조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결론)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는 협업을 통한 콘셉트 발굴을 위한 도구이고, 이것을 통해 발굴된 콘셉트의 행동예측을 하기 위해 레고시리어스 플레이를 눈높이에서 찍은 스토모션, 혹은 1:1 모델을 통해 직접 시연하는 등 축소형 스케일 개념모델을 통하여 행동예측이 가능한 방법으로 정교화 할 필요가 있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era of autonomous vehicle, the meaning of interior space is being reinterpreted as a space that can provide various user experiences rather than safety focused driver-centered space. The mobility of the future will be a service that emphasizes human-centered experience and is a huge collection of various services that lead to the entire city rather than offering product or stand alone services, and designers should suggest scenarios for autonomous vehicle’s interior design tailored to these roles.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esign process based on Lego Serious Play, one of the well-known service design methods, and to confirm suitability through case studies. (Method)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the essential elements of future mobility a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future mobility presented by the automotive industry to define the three content elements and three methodical elements that are necessary for the design process of future autonomous vehicle interior space. The provision of various user experiences, the service that values the user's boarding experience, and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entire city and the vehicle interior space are three content elements. There are three method factors: how to get away from conventional thinking, how to present a strategic and greater solution to respect diversity, and how to embrace collaboration with various experts. Based on the six defined factors, the suitability of Lego Serious Play is confirmed through prior case studies and literature studies. (Results) Based on the process using Lego Serious Play, six scenarios were developed. Private business space for level 3, and 4 vehicle, family mover for level 3, and 4 vehicle, personalized learning space for level 4 vehicle, and lastly leisure/preference matching space for level 4 vehicle are the six scenarios. Through the results analysis, the role of Lego Serious Play as idea generation tool to solve problems and propose creative solutions, and the role of visualisation tool were applied to the scenario development process to confirm the suitability of meeting the three content elements and three methodical elements that were key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scenarios for Interior space of autonomous vehicle. (Conclusions) Lego Serious Play is a tool for exploring concepts through collaboration, and in order to predict the behavior of concepts discovered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refine the Lego Serious Play in a way that can be predicted through a scaled-down concept model, such as stop motion by demonstrating it at eye level or directly through a 1:1 model.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자율주행시대의 주차시설 재생을 위한 입지 특성 및 유형 분석
박치영(Park, Chi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3 (2022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자율주행과 UAM이 가져올 미래 인프라 변화
박혜성; 최민지; 김태경; 정광회 - 건설관리(한국건설관리학회지) : Vol.23 No.3 (202206)
미래 도시의 어반 모빌리티 플랫폼 : 사용자 공간 경험의 전환
함남혁; 김주형; 김재준 - 건설관리(한국건설관리학회지) : Vol.23 No.3 (202206)
자율주행차량과 건축의 결합을 위한 고층 구조 시스템 제안 및 설계 적용
박상우(Park, Sang-Woo) ; 윤성원(Yoon, Sung-Won) - 한국공간구조학회지 : Vol. 20, No. 1 (통권 79호) (202003)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도시형 공중 모빌리티 (UAM) 도입에 따른 수도권 도시공간구조 변화 예측
이종욱(Lee, Jong-Wook) ; 이재홍(Lee, Jae-Hong) ; 홍성조(Hong, Su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6 (202106)
자율주행차량을 위한 고층 구조시스템
박상우;윤성원;김민경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9 No.2 (201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