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시 지하 유휴 시설 수직형 농장 적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ertical Farm to Urban Underground Idle Facilities
저자명 배기태(Bae, Kitae) ; 류리(Ryu, Ri) ; 김용(Kim, Yongseong)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5 No.08 (2020-12)
페이지 시작페이지(49)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수직농장; 유휴시설; 스마트팜; 지하보도; 도시재생 // Vertical Farm; Idle Facilities; Smart Farm; Underground Pass; Urban Regeneration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유엔의 세계인구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76억 명인 세계의 인구가 2050년까지 98억 명으로 증가가 예상되며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25억 명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에 따라 식량은 현재 대비 75%가 더 필요하며, 이는 향후 35~40년 사이에 과거 만년 동안 생산량을 모두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해야한다. 이로 인해 식량생산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수직형 농장은 도시 안에 들어가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한 새로운 건물을 짓는 것은 땅과 자원이 들어가는 또 다른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발생됨에 따라 새로운 구조를 만들어 내는 것보다 도심의 문제점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요인인 공실률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더 많은 비용을 아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밀집된 도시 환경에서 건축 기반 도시 농업이 점점 더 필요하다는 것을 전제로, 이를 도심의 지하 유휴 시설에 수직형 농장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현재 발생하고 있는 지하 유휴 시설들에 수직형 농장 적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수직형 농장의 기술과 시설의 규모, 구성 등은 현재 연구하거나 상업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국내·외 사례들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하 유휴시설에 적용 가능한 모듈을 제안하였다. 지하 유휴 시설에 대한 설정은 서울 시내의 버려지거나 쇠퇴하고 있는 시설에 관하여 대상을 선정하였으며, 구성된 모듈을 지하 유휴시설에 대입시켜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본 연구는 서울 도심의 지하보도, 지하상가들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로 목적의 불필요성과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보행 환경이 열악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 생산 및 판매가 가능한 수직형 농장을 적용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를 가진 을지로3가역 유휴공간, 한국은행 앞 지하보도, 소공동 지하상가에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로 을지로 3가역 유휴공간에는 7,000포기/달, 한국은행 앞 지하보도에는 8400포기/달, 소공동 지하상가에서 54,000포기/달 만큼 채소를 재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를 통해 주변 상권 및 오피스, 거주자들에게 식량을 공급할 수 있는 역할을 하며, LED조명과 채소의 초록색을 통해 지하보도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According to the UN's Global Population Outlook Report, the world's population, from 7.6 billion as of 2017, is expected to reach 9.8 billion by 2050. The number of people living in cities will reach 2.5 billion. Consequently, 75% more food will be needed then; more food must be produced in the next 35-40 years than in the past 10,000 years combined. One of the recent innovations in food production is vertical farming. Vertical farms have a structure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However, constructing new buildings is problematic as land and resources cost extra. Rather than creating a new structure, the problem can be solved by using vacant structures, a continually emerging factor, to save more mone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lan for vertical farming in idle underground facilities through researching the premise that architecture-based urban agriculture is increasingly needed in a dense urban environment. (Method) The technologies behind vertical farming, as well as the scale and composition of the facilities, were studied using current domestic and overseas commercial cases. This helped envision a module applicable to idle underground facilities. To establish such facilities, a study was conducted on abandoned or declining facilities in Seoul,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uch methods was examined by substituting the configured modules into the facilities. (Results) Consequentl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edestrian environment is poor due to its unnecessary purpose and ineffective management. For example, the empty Euljiro 3-ga Station, the underground walkway in front of the Bank of Korea, and the Sogong-dong underground shopping mall, all with spaces to construct vertical farm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as much as 7,000 vegetable heads/month in the idle space of Euljiro 3-ga Station, 8400 vegetable heads/month in the underground walkway in front of the Bank of Korea, and 54,000 vegetable heads/month in the Sogong-dong underground shopping mall could be grown, respectively.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available space could be used to provide food to the surrounding commercial districts, offices, and residents; the underground sidewalk ambience could be improved through LED lighting and the soothing green color of vegetable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수직 스마트팜 계획에 관한 연구
조희정(CHO, Hui-Jung) ; 강철희(Kang, Chul-Hee)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9 No.1 (201904)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일본 건물활용형 수직농장 유형별 사례 분석
진달래(Jin, Dal-Rae) ; 김영훈(Kim, Young-Hoon) ; 박형민(Park, Hyeong-Min) - KIEAE Journal : Vol.18 No.1(통권 89호) (2018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패시브디자인을 적용한 주거용 스마트팜 건축계획연구
맹동(Meng Dong) ; 류리(Ri Ryu) ; 김용성(Yong Seong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4 No.01 (201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