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증강현실 기반 건축문화유산 공간경험 활성화 방안 연구 - 해외 디지털 복원사례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Augmented Spatial Experience of Architectural Heritage - Focused on the Overseas Digital Restoration Cases -
저자명 천준(Chen, Jun H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5 No.08 (2020-12)
페이지 시작페이지(223) 총페이지(14)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증강현실; 건축문화유산; 공간경험; 디지털 모델링; 디지털 복원//Augmented Reality; Architectural Heritage; Spatial Experience; Digital Modeling; Digital Restoration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국내 문화유산 분야는 다른 산업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디지털화가 늦게 진행되었으며, 통합관리 시스템의 부재로 ‘2차 정보생산’, ‘정보공유’ 등의 제도적 장치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해외 건축문화유산의 디지털 복원의 대표 사례 연구를 통해 건축문화유산 관련 증강현실 기반 실감콘테츠를 이용한 공간경험 활성화와 디지털 복원 및 디지털 DB구축의 표준화에 대한 기초연구자료를 만드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증강현실 기술의 발전 동향을 파악하고, 디지털 유산의 정의 및 건축유산의 디지털 복원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건축유산의 디지털 원형복원을 위해 필요한 3차원 모델링 기술의 표준화 방법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공간경험의 특성에 대해 탐구한다. 셋째, 지역 건축문화유산의 지역성이 반영된 해외 대표사례를 현장조사와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공간경험의 방법과 특성을 분석한다. 넷째, 국내 건축문화유산의 증강현실 기반 공간경험을 위한 실감 콘텐츠 개발과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결과) 건축문화유산의 보존·복원 관련 신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명 건축유산의 공간경험을 위한 몰입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이탈리아 로마 역사도심(Centro Storico)에 위치한 5개의 사례들을 디지털 복원의 방법,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체험요소별 구분방식, 공간경험의 종류와 강도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분석사례를 종합 해보면, 증강현실 기반 공간경험 콘텐츠의 경우 역사도심의 중요위치에 전략적으로 배치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장르, 콘텐츠, 공간체험을 결합한 건축문화유산관광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역 역사?문화의 포괄적 시야를 제공하며, 각각의 건축유산 간의 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야기, 역사, 기술, 생활양식 등과 같은 ‘비물리적 자산’의 심도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유산이 건축 되어질 당시 도시의 ‘장소’로서의 공간체험을 위해 시대적 배경과 환경요소, 역사적 사건 및 인물 등 스토리자원을 이미지, 사운드로 설명하였다. 이는 복합적 연출을 통해 높은 몰입도와 체험성을 만들어내는 공간체험요소로 작용한다. (결론) 본 연구는 사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건축유산의 3차원 입체 모델링은 디지털 기록자산으로서의 의미를 갖기 때문에, 심도있는 건축적?고고학적 고증이 필요하며, 건축유산의 특성에 맞는 모델링 표준화 방법의 개발이 우선 되어야 한다. 둘째, 건축유산 공간경험의 체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의 문화적?역사적 스토리자원을 활용해 건축유산을 하나의 ‘장소’로서 인식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건축유산 공간경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건축유산을 하나의 분리된 건축물이 아닌 도시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는 전체적이고 종합적인 마스터플랜을 통해, 도시 건축 관광 서비스로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architectural heritage field, the digitalization process was relatively slow compared to other industrial fields. Due to the absence of an integrated conventional management system, the “secondary information production system”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are insufficient. Through the representative case study of digital restoration of overseas architectural heritage, this study aims to create basic research data on the activation of spatial experience made with the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the standardization of digital restoration, and digital DB construction related to architectural and cultural heritage. (Method) First, it identifies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AR technolog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tudying the definition of digital heritage and the needs for the digital restor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Secon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it explores the 3D modeling technology process, standardizatio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to create a spatial experience using the AR technology. Third, the representative overseas cases are analyzed based on the field survey and the literature survey focusing on the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spatial experience. Lastly, we draw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vitalization of the spatial experience of the national architectural heritage. (Results) It has identified five cases in Rome, Italy, where immersive contents for the spatial experience of famous architectural heritage are continuously developed, to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restoration methods, types, and intensity of spatial experience elements. A summary of the analysis cases shows that AR applications based on immersive contents are strategically placed in the important locations of Rome’s historic center. These strategic locations provide a comprehensive view of the local history and culture by establishing an “urban heritage tourism service network,” which combines genres, contents, and space experience. The “story resources” such as historical background, events, environmental factor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non-physical assets,” which explain the heritages from various angles to create a high level of immersive experience. (Conclusions)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rom the case analysis: first, as 3D stereoscopic modeling of architectural heritage can be recognized as digital heritage, it needs in-depth research in the architectural and the archaeological field. Furthermore, it should be preceded by a specific development of digital modeling standardization suitable for architectural heritage. Second, to enhance the spatial experience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 as a "place," it is necessary to use local cultural and historical story resources. Third, to recognize the architectural heritage as a part of the city and not as a single separate piece, it is necessary to draw a comprehensive masterplan of spatial experience system which can be defined as an urban network.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한국의 건축문화재 보존원칙 재고
강현(Kang, Hyun)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705)
[특집] 건축문화유산의 보존·복원과 활용, 그리고 진정성
김상태(Kim, Sangtae)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2 No.03 (201803)
건축문화유산의 비평적 복원에 관한 연구
김태형(Kim, Tae-Hyung) ; 김영재(Kim, Young-J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6 No.08 (202008)
건축문화유산의 야외 증강현실 활용 사례와 관람매체 제안
김석영(Kim, Suk-Young) ; 김왕직(Kim, Wang-Jik)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611)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구미지역의 문화유산연구
김영재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2111)
건축문화유산의 공간경험 디자인
장선영(Jang, Sun-Young) ; 김성준(Kim, Seongjun) ; 김성아(Kim, Sung-Ah)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5 No.04 (201904)
증강현실의 현황과 건축문화유산에서의 활용 방안 연구
이정희(Lee, Jeong-Hee) ; 김영재(Kim, Young-Jae)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811)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