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5가지 체험요소 기반의 오프라인매장 브랜딩 연구 -번 슈미트의 체험마케팅 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randing of Offline Stores Based on 5 Experiences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marketing by Bernd H. Schmitt-
저자명 하유진(Ha, Yujin) ; 이정(Lee, Jeonggy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5 No.08 (2020-12)
페이지 시작페이지(511) 총페이지(14)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오프라인매장; 브랜딩; 브랜딩 전략; 체험마케팅; 스페이스 브랜딩//Offline stores; Branding; Branding Strategies; Experience Marketing; Space Branding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온라인 이커머스의 비약적인 성장은 오프라인 시장에서 새로운 개념의 마케팅 전략을 요구받게 되었다. 최근 시장의 과도한 공급은 그 특성들이 비슷해져 소비자들로 하여금 브랜드 간의 뚜렷한 구분이 어려워졌다. 이에 광고와 잡지 등의 2차원적 시각요소에 의한 브랜딩을 넘어 소비자들이 직접 브랜드를 체험하는 오프라인 공간이 주목 받게 되었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타사와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오프라인매장 브랜딩은 필수적이게 되었다. 본 연구는 브랜드 홍수 속에서 5가지 체험요소 기반의 오프라인매장의 필요성에 관해 연구하고 성공적인 브랜드 경험을 위한 오프라인매장 브랜딩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체험마케팅과 오프라인매장 브랜딩의 개념, 특성을 알아본다. 다음 선행 연구를 통해 브랜딩 구성요소를 알아본 후 번 슈미트의 체험마케팅 전략적 체험 모듈을 기반으로 오프라인매장 브랜딩 전략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선정된 4가지 사례를 모형도를 통해 분석한다. (결과) 분석 결과 4가지 사례 모두 평균 이상으로 체험요소를 고루 사용하였으며 브랜드 별 체험의 합은 무지 호텔 긴자 > 쿠킹 라이브러리 > 아모레 성수 > 시몬스 테라스 순으로 높게 나왔으며, 브랜딩 전략은 시각성 > 유기적경험·체험성·가치제안성 > 연상성 > 문화예술성 > 장소성·지역생상성 > 플랫폼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브랜드 체험 매장으로 큰 호응을 받고 있는 4개의 오프라인매장 모두 체험마케팅 기반의 오프라인매장 브랜딩 전략을 고루 사용하고 있었다. 체험 모듈 중 감각이 가장 높게 쓰이고 관계가 가장 낮게 사용되었는데 이를 통해 체험을 할 때 시각적인 부분이 중요하며, 관계 요소는 다른 체험에 비해 작지만 그 체험의 폭이 점점 넓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지 호텔 긴자의 경우 숙박을 할 수 있는 호텔과 매장을 함께 배치하여 높은 체험이 가능하였고 가장 낮은 체험을 보인 시몬스 테라스의 경우 아직 까지 쇼룸의 성격이 남아 있어 더 깊은 체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해당 내용을 통해 오프라인매장이 차별화된 경험과 다양한 브랜드 가치를 체험하는 장이 되었으면 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The rapid growth of online e-commerce has led to a demand for new-concept marketing strategies in the offline market. The recent excessive supply in the market has led to many similar products , making it difficult for consumers to distinguish between the brands. Consequently, the offline space, where consumers gain direct brand experience beyond branding based on two-dimensional visual elements, such as advertisements and magazines, has gained attention. Finally, the offline store branding, which clearly conveys brand identity and highlights the features distinguishable from those of other companies, has become essential.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need for experiential marketing-based offline stores in contemporary society inundated with brands, and to present an offline-store branding strategy that would assist in promoting successful brand experience. (Method)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marketing and offline store branding were examin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branding components were explored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followed by the derivation of offline store branding strategy based on the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 by Bernd H. Schmitt. Finally, the four selected cases were analyzed using the model diagram.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um of strategic elements by brand was higher in the order of Muji Hotel Ginza, Cooking Library, Amore Seongsu, and Simmons Terrace. The sum by strategic element was higher in the order of Visual, Organic Experience and Experience, Value Proposition, Association, Cultural Arts, Spatiality and Regional Co-prosperity, and Platform. (Conclusions) All four offline stores, which attracted great response as brand experiential stores, were applying the experiential marketing-based offline stores branding strategies in a balanced manner. Among the experiential modules, the sense was used the most, and the relationship was used the least.
When experiencing through that, visual part is considered important. The relationship segment remained insignificant compared to other experiences, but the breadth of the experience was found to be expanding gradually. Muji Hotel Ginza arranged the stores and hotel providing accommodation together, thus allowing a high degree of experience. Simmons Terrace, which provided the lowest degree of experience, still had the characteristics of a showroom, raising the need for research. Therefore,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a basis for formation of offline stores serving as a space that would offer differentiated experience and allow consumers to experience various brand value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어린이환자의 공간사용 행태에 관한 연구
최인영 ; 박수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3 n.6(통권 107호) (201412)
놀이행태 분석을 통한 어린이집 실외놀이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7 No.6(통권 131호) (2018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COVID-19 이후 뉴노멀 시대의 도서관 서비스 변화로 인한 리좀형 도서관으로의 전환 가능성 연구
이지원(Lee, Jee-Won) ; 유다은(Yoo, Da-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9 (202109)
브랜드 경험요소를 적용한 패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특성연구
장윤정(Jang, Yunjeong) ; 이정(Lee, 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5 No.08 (202012)
우울증상 치유를 위한 실내 휴게공간 환경색채모델 연구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30 No.3(통권 146호) (202106)
체험요소를 활용한 라이프스타일 숍의 스페이스 브랜딩 연구
이수현(Suhyun Lee) ; 이재규(Jae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3 No.06 (20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