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시대적 변화에 따른 국립현대미술관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Changes of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Period
저자명 이민희(Lee, Minhee) ; 김주연(Kim, Jooyun) ; 김원길(Kim, Wongil)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6 No.03 (2021-04)
페이지 시작페이지(61)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미술관; 시대변화; 전시공간; 미술전시; 공간변화//Art museum; Change in the times; Exhibition space; Art exhibition; Spatial changes
요약1 (연구 배경 및 목적) 국민의 문화 향유를 위한 예술은 정치·사회·환경적 변화에 따라 시대적 변화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국립 미술관의 공간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국립 미술관의 건축적 변화의 분석과 해석이 아닌 환경적 변화와 미술관 역할의 변화 양상에 따른 기능적 변화를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하며, 기존의 미술관 공간 연구가 건물의 외관, 내부 물리적 공간의 분석 등 건축학 측면으로 연구가 되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 환경의 변화, 운영의 변화, 미술 전시의 변화, 즉 기능적 측면에서 미술관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립 미술관의 시대적 변화를 이해하고, 변화의 특성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미술관의 공간 운영 전략을 위한 학술적 연구 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미술관 공간의 변화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진행한다. 미술관 공간의 변화를 시대적, 운영적, 사회 요구적 변화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술관 공간을 변화하게 하는 요인으로 환경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측면의 세 가지로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미술관 공간의 변화에 대해 검증한다. (결과) 분석 결과, 오늘날 미술관 공간은 장소성이 높게 나타나며, 미술관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미술관의 기능적 측면의 변화로 인한 공간의 특성은 기관의 면적과 규모가 클수록 전시·교육·연계 문화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참여성과 공공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접근성이 우수하다고 해서 기능적 특성인 참여성과 공공성, 지속성이 비례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람 서비스 측면으로는 휴게공간이 더 넓게 제공될수록 사용자의 편리성과 이용빈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오늘날 미술관의 공간 형태는 규모가 커질수록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기능적 특성인 참여성과 공공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환경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변화가 미술관의 공간 운영 형태를 변화하게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의 국립 미술관 공간 활용 계획에 앞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In art, the trends of the times for people to enjoy culture have changed with polit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 National Museum of Arts has a duty to ensure that the right of enjoyment of culture is recognized as a people's basic right. This study focuses on the spatial changes of the National Museum of Arts in Korea. It tries to derive each factor by analyzing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diachronically, and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This study should serve as academic research material for the space operation strategy of the art museum in the future, by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the National Museum of Arts and the trends of the times. (Method) This study proceeded on literature reviews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It analyzed spatial changes by dividing them into periodic, operational, and socially demanding ones, and then analyzed the factors of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from three aspects: environmental, functional, and viewing service. The study then prepared a framework for analysis to verify the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high placeness in the art museum, a factor that best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museum. The functional change in the art museum showed that the larger the area and scale of the institution,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and publicity, as it has run various programs for exhibitions, training, related cultural events, and so on. However, excellent accessibility was not proportional to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publicity, and persistence. In terms of viewing service, except for exhibition halls, the more rest facilities built, the more convenient and usable, and participation and public performance appeared in the same indicator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spatial form of art museums today becomes a “complex cultural space” as its scale increases, with significant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and publicity. Therefore, changes in environmental, functional, and viewing services dictate how art museums use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function as basic reference material in the future, when planning space utilization in the National Museum of Art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전시프로그램을 고려한 우리나라 박물관과 미술관의 스페이스 프로그램 비교 연구
서유석(Sea You-S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10 (200410)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현대 미술관 스페이스 프로그램의 변화와 공간적 대응에 관한 연구
박종구(Park, Chong-Ku) ; 이종협(Lee, Jong-Hyub) ; 안은희(An, Eun-Hi)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2호 (2018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미술관 전시공간의 유형과 그 해석
백용운(Baek Young-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1 (201001)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미술관 전시공간에 사용되는 공간유형
백용운(Baek Young-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한국의 컨버젼 건축에 관한 연구 2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건립과정을 중심으로 -
강호원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73호 (20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