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학교공간혁신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유연한 공간플랫폼 제안 / A Proposal of Flexible Space Platform centered on Learners for School Space Innovation
저자명 박병준(Park, Byoungjoon) ; 조택연(Cho, Taigyoun)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6 No.04 (2021-06)
페이지 시작페이지(145)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학교공간혁신; 미래교실; 미래교육; 가변성; 모듈화//School space innovation; future classroom; future education; variability; modularization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학교라는 공간은 우리의 청소년/아이들을 위한 배움의 장소이자 커뮤니티 공공시설이다. 하지만 오랜 시간 동안 사각형 교실에서 일방적 지식의 전수기관으로 머물러 왔다. 그 결과 학교라는 공간은 지금껏 효율적인 관리와 통제의 학습공간으로만 기능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도달하면서 획일적이고 정형화된 인재가 아닌,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해 대처하고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창의적인 인재육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의적 인재육성을 위한 유형별 학습 환경 분석을 통해 전통적인 사각형이라는 물리적인 공간 구조에서 벗어난 창의적 미래 교육 환경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교실공간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노후화된 재료와 마감을 교체하거나 리모델링하는 수준의 변화가 아닌 기존 교실공간의 패러다임 자체를 파괴하는 개념으로 새로운 접근을 통해 창의적인 인재육성을 위한 미래 교육 학습활동을 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유연한 공간플랫폼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전통적인 수업방식은 사각형의 정해진 물리적 공간에서 교과서(혹은 영상자료)에 기반하여, 3Rs Reading(읽기), Writing(쓰기), Arithmetic(연산) 중심으로 진행됐으며, 이러한 교육패러다임 방식은 대량생산 체제에서 요구하는 획일적이고 표준화된 인간을 육성하는 데 효율적이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추어 급격히 변화하는 미래를 이끌 창의·융합형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여러 교육기관은 창의·융합교육을 뜻하는 4Cs Creativity(창의성), Critical Thinking(비판적 사고), Collaboration(협력), Communication(의사소통)을 토대로 다양한 방법으로 교실공간과 교육프로그램에 변화를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의 다양한 선진 미래교실 환경사례를 통해 4Cs를 함양할 수 있는 수업환경과 방식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맞는 학습자 중심의 유형별 미래교실공간의 프로토타입(prototype)을 설정하고자 한다, 또한, 첨단기술의 체계적 통합과 정보의 자유로운 교류를 통해 협동 맞춤 개별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공간은 어떠한 공간구조와 기능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여 학습자 중심의 유연한 미래교실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과) 첫째, 기존 지식전달 중심의 사각형 공간을 탈피하고 소통과 협력 중심의 수업환경을 구현하고자 방향성이 없는 허니콤(honeycomb) 구조의 모듈을 적용하였다. 둘째, 허니콤(honeycomb) 구조의 모듈을 통해 용도와 기능에 따라 유기적인 연결과 분리를 할 수 있어 확장 가능한 레이아웃을 계획하였다. 셋째, 교사와 학생들의 창의, 융합교육학습(4Cs)의 다양한 유형별 수업 활동을 위해 교실의 병합과 분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배치와 조합이 자유로운 모듈형 가구와 기자재를 계획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유연한 유형별 수업환경을 다목적 활용(Multi-Use)공간을 계획하였다. (결론) 기존 교실공간의 패러다임을 탈피한 본 연구 과제를 통해 기존의 획일적이고 감옥 같은 학교공간을 혁신시킬 수 있는 하나의 사례로써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School is a space for learning and a community with public facilities where our youth/children stay for a long time. However, the school has long remained an institution that transfers one-way knowledge in square classrooms. As a result, the school space has functioned only as efficient learning management and control until now. However, with the recent arriva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chools are required to avoid being uniform and fostering standardized talents but, instead, to foster creative talents who can cope with the future’s uncertainty and create new thing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 new type of classroom space to fit the creative future education environment by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square-shaped physical structure and analyzing the learning environment by type to foster creative human resources.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 flexible space platform centered on learners to foster creative talent through a new approach based on the concept of destroying the paradigm of the existing classroom space itself, rather than changing the level or replacing or remodeling obsolete materials and finishing. (Methods) To nurture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who will lead a rapidly changing future in accordance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provide various methods based on the 4Cs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llaboration, Communication). Such creative and convergence education has led schools to change their classroom spaces and educational programs. This study therefore sought to determine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methods that could provide the 4Cs through various advanced future classrooms abroad and to establish a prototype of the future classroom space centered on learners. This study proposed a flexible future classroom platform centered on learners by researching the spatial structure and function of a learning space that enables customized cooperative individual learning through systematic integra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and the free exchange of information. (Results) First, this study applied a non-oriented honeycomb structure module to realize a classroom environment centered 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square space centered on knowledge transfer. Second, we planned an expandable layout that could be organically connected and separated according to use and function through the honeycomb-structured module. Third, we established a system that allowed for the merging and separation of classrooms for various types of classroom activities of creative and convergence education and learning (4Cs) for teachers and students and planned modular furniture and equipment that could be arranged and combined freely to create a multi-use space with a flexible class environment centered on learners. (Conclusion) This study may serve as a guideline for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classroom space paradigm and innovating the existing uniform, prison-like school space.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교실공간의 재구조화 유형
이승헌(Seungheon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4 No.05 (201909)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학교건축 계획방향에 대한 기초연구
송병준 ; 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0 n.1(통권 84호) (2011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아모레퍼시픽 사옥 설계사례
최도석 - 설비저널(대한설비공학회지) : Vol.47 No.12 (201812)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