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럭셔리 가구 브랜드의 마케팅 요소로서 럭셔리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reation of luxury space as a marketing element of luxury furniture brands
저자명 양송이(Yang, Songi) ; 이정교(Lee, Junggy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6 No.04 (2021-06)
페이지 시작페이지(177)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럭셔리 가구 시장; 럭셔리 가구; 럭셔리 공간 연출; 가구 마케팅; 예술적 공간 연출//Luxury furniture market; Luxury furniture; Creating a luxury space; Furniture market; Artistic space production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럭셔리 비즈니스 시장은 여러 번의 산업혁명과 소비문화의 변화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 뉴스에 따르면 covid-19의 영향으로 많은 시장이 위기에 놓여 있지만 오히려 럭셔리 비즈니스 시장은 더 큰 성장세에 있는 실정이다. 그 중 홈 인테리어 시장은 언택트, 스테이 홈, 업무공간으로의 집 등 새로운 트랜드로서 성장세에 있으며 공간의 표현 방식과 앞으로의 방향을 고려해보았을 때 대중적인 홈 인테리어의 고급화를 예상할 수 있다. 이에 실내공간디자인의 중요 요소인 가구는 각 브랜드들이 마케팅을 위한 공간연출을 함에 있어 각 브랜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공간을 각각의 웹페이지의 광고와 브로슈어 등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럭셔리 가구 브랜드들의 마케팅 요소로서 럭셔리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의 럭셔리 공간을 위한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럭셔리의 개념과 럭셔리 가구브랜드의 특성 및 지표를 도출한다. 또한 럭셔리 브랜드 가구 마케팅 요소와 럭셔리 공간 및 연출 요소를 통하여 마케팅을 위한 럭셔리 공간의 지표를 알아본다. 이러한 내용의 분석을 위한 브랜드 마케팅을 위한 럭셔리 공간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 모형으로 분석의 대상은 럭셔리 가구 브랜드는 가구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거론되는 가구로서 현재도 럭셔리 가구에서 잘 알려진 브랜드로 사례분석을 실시한다. 분석의 내용은 브랜드와 이미지, 공간에서의 럭셔리 특성, 럭셔리 가구 브랜드 특성, 온오프라인의 마케팅 표현과 공간 및 연출요소를 5점 척도로 분석한다. (결과) 공간에서의 럭셔리 특성은 4곳 모두 공통적으로 고급성, 치유성, 조형성, 색채성, 정교성이 충족이 되며 또한 3곳은 과시성, 사치성, 역사성, 희소성을 충족시킨다. 럭셔리 가구 브랜드의 특성으로는 2개의 브랜드가 모든 사항을 충족시키고 있으며 마케팅 표현에 있어서는 4곳의 브랜드가 온라인으로 웹페이지와 카달로그를 제공하고 있다. 공간 대부분 공간과 가구의 색채는 조화를 이룬다. (결론) 럭셔리 가구 브랜드들은 자부심과 함께 역사와 예술, 절묘한 컬러와 마케팅 공간 배치로 럭셔리한 공간을 연출한다. 또한 유명한 건축가와 디자이너와의 파트너십과 마케팅 공간을 통하여 브랜드 가치를 올리고 있으며 공간적으로는 역사적이며 예술적인 장소에 가구를 배치함으로 역사성과 고급성을 갖춘 가구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게 한다. 컬러 분석으로는 각 브랜드가 모두 다른 분석 차트를 보이는데 공통점은 각각의 공간과 가구가 비슷한 명도와 채도를 갖고 있어 잔잔하며 고급스러운 느낌 또는 강렬하고 화려한 느낌을 준다. 각 브랜드는 개성 있는 색채감과 공간감으로 럭셔리의 요소를 갖추어 브랜드 가치를 올리고 있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The modern luxury business market is growing rapidly due to several industrial revolutions and changes in consumer culture. However, according to recent news, many markets are in crisi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ough the luxury business market is still growing. Among them, the home interior market is growing due to new trends such as untact, stay at home, and home to workspace. Considering the way these interior spaces are expressed and the future direction, popular luxurious home interiors can be expected. Therefore, furniture, an important element of interior space design, presents a space through advertisements and catalogs on each webpage where each brand can increase its value in producing space for marketing. Especially, Italian furniture brands, which can be called luxury furniture brands, are increasing their brand value by connecting their furniture with the country's natural and historical heritage in the background. As a marketing element of luxury furniture brands, we inte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sign for the future luxury space through research on its creation. (Method) This thesis derives the concept of luxury,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and indicators of luxury furniture brands. In addition, it examines the indices of luxury space for marketing through luxury brand furniture marketing elements, luxury spaces, and directing elements. As an evaluation index model for analyzing luxury space for brand marketing, the analysis targets luxury furniture brands as households discussed in prior research on furniture and are still well-known brands in luxury furniture. It analyzes the brand and image, luxury characteristics in space, luxury furniture brand characteristics, online and offline marketing expressions, and space and direction elements. (Result) Luxury characteristics in space are common in all four places, satisfying luxury, healing, formulation, color, and sophistication, and three also meet ostentation, luxury, historical and scarcity. As a characteristic of luxury furniture brands, two brands satisfy every criterion, and four brands provide web pages and online catalogs in marketing representations. The colors of most spaces and furniture harmonize. (Conclusions) Luxury furniture brands create a luxurious space with pride, history, art, exquisite colors and marketing space arrangements. In addition, the brand value is raised through partnerships and marketing spaces with renowned architects and designers, and by spatially arranging furniture in historical and artistic places, it intuitively recognizes that the furniture has historicity and luxury. In color analysis, each brand shows a different analysis chart; however, each space and furniture have similar brightness and saturation, radiating a calm and luxurious feeling or an intense and colorful feeling. Each brand is raising the brand value by having a luxury element with a distinctive color and space.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럭셔리 브랜드 공간 아이덴티티 전략에 관한 연구
최다진(Choi, dajin) ; 임선희(Kim, Juyoun) ; 김주연(Lim, Sun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6 No.07 (202110)
패션 브랜드 호텔 입구 공간의 브랜드 로고 적용 방식 연구
김지현;최정아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6호 (201905)
브랜드 경험요소를 적용한 패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특성연구
장윤정(Jang, Yunjeong) ; 이정(Lee, 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5 No.08 (202012)
소주박물관의 공간계획에서 나타나는 지역주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배종정(Pei, Congjing) ; 한태권(Han, Taekwon) ; 김주(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5 No.08 (202012)
포괄적 비주얼 머천다이징 평가에 의한 럭셔리 브랜드 매장의 현상 분석 - 패션 브랜드를 중심으로 -
최원선(Choi, Wons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5 No.03 (202004)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스페이스에서의 사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디자인 연구
마군(Ma, Jun) ; 남경숙(Nam, Kyungso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5 No.01 (202002)
소비자 특성에 따른 백화점 실내휴게공간 이용행태와 인식 -서울지역 소비자 군집유형을 중심으로-
박동(Dong Park) ; 김영주(Youngjoo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4 No.07 (201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