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글랜 머컷의 베란다하우스 진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volution of Glenn Murcutt’s Verandah House
저자명 이승민(Lee, Seungmin) ; 조항만(Zo, Hangma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07 (2021-07)
페이지 시작페이지(107) 총페이지(9)
ISSN 2733-6247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이론
주제어 글랜 머컷; 베란다; 외부화된 내부공간; 패시브 디자인 // Glenn Murcutt; Verandah; Inside-out Space; Passive Design
요약1 초기 영국 이주민들은 브리티시 코티지(British Cottage) 등 다양한 주거용 건축물을 호주에 건설하였지만 호주 특유의 지역적 기후 조건을 이겨 내지 못한 반면, 1960년대 후반부터 활동한 호주의 건축가 글랜 머컷(Glenn Murcutt)은 베란다공간을 활용하여 지역적 맥락을 담아내는 동시에 주변 환경과 주거 공간을 조화롭게 연계시킨 이상적인 공간, 즉 외부화된 내부 공간(Inside-out space)의 플랫폼을 창조했다. 본 연구는 머컷의 정성적인 측면의 지속가능한 설계 전략의 비-기술적요소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서, 효율과 기술만 강조되는 현대 건축의 문제점을 풀어나갈 단서를 찾아 보고자 한다. 또한 베란다공간의 유형과 위치등이 바뀌는 변화들의 분석을 통해 그 차이점들이 한데 모여 내재된 발전의 성격을 띄면서 질적인 향상을 추구하는 '베란다하우스(Verandah House)'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러므로 환경에 적응하는 가변성을 특징으로 하는 글랜 머컷의 '베란다하우스'는 자연과 인간의 공존, 지속가능한 주택, 건축에 있어서의 지역성, 그리고 거주자인 인간이 주체가 되어 주택내부공간의 갇힘으로부터 해방되는 건축이 무엇인지 등에 대한 유익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요약2 Glenn Murcutt’s residential architectures in 1960-90s have evolved to suit regional climates over the period time. To solve the disconnection
of British Cottage from the Australian landscape, Murcutt developed a long ‘Verandah House’ by adopting the idea of a ‘Californian
bungalow’ into the existing terrace houses. As such this paper investigates Murcutt’s reinvention of the verandah space which became an
ideal living platform or externalized inside-out space to reflect the local climate and terrain. Additionally, Murcutt installed adjustable layers
to the wall such as shutters and louvers so that the occupant can coordinate with the ‘Verandah House’. This strategy promotes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as well as maintains the ecosystem by minimizing energy use. Since 2005, the BUILDING
ACT for balcony expansion in Korea was legalized by the construct however balconies are mainly used for the expansion of residential
spaces or warehouse. In contrast to ‘Verandah House’, this internalized inside-out space lost the main value of the balcony and ignored the
option of the prospective occupant. Thu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resolve the dilemma of site-less residential architecture by analyzing
Murcutt’s evolutionary process of farmhouse based on his sustainable design strategies in non-technological way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1953년 전시 “삶과 예술의 평행”의 이미지 체계와 교차 관계
전태규(Jun, Tae Gue) ; 남성택(Nam, Sung-Tae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6 (202106)
묘지 건축을 통한 산 자와 죽은 자 사이의 만남의 방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기세호(Kee, Se-Ho) ; 백진(Baek, 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6 (202106)
케네스 프램턴의 비판적 지역주의가 지니는 한계점과 현대적 의의
김승범(Kim Seung-Bum) ; 김광현(Kim Kwang-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8 (201108)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도시의 회복 탄력성을 위한 소통적 시설의 재발견
한상우(Han, Sang-Woo) ; 백진(Baek, 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3 (202103)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