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COVID-19 이후 뉴노멀 시대의 도서관 서비스 변화로 인한 리좀형 도서관으로의 전환 가능성 연구 / Possibility of the Transition to Rhizome-type Library in the Post COVID-19 Era
저자명 이지원(Lee, Jee-Won) ; 유다은(Yoo, Da-U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09 (2021-09)
페이지 시작페이지(21) 총페이지(30)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코로나19; 도서관; 도서관 서비스; 도서관 공간; 공간구성; 리좀; 리좀형 도서관 // COVID-19; Library; Library Services; Library Space; Spatial Structure; Rhizome; Rhizome-type Library
요약1 본 연구는 COVID-19 발생 이후 도서관의 공간 활용이 큰 제약을 받는 상황에서, 기존의 수목형 공간구조의 한계에 대한 건축공간 측면의 해법으로 리좀형 도서관(Rhizome-type Library)을 제안하였다. 리좀형 공간구조의 이론 고찰을 통해 도서관에 적용가능한 공간구조의 특성을 탈중심성(De-centrality), 독립성(Independence), 다양성(Diversity), 탈영역성(De-territorialisation), 비위계성(De-hierarchicality), 모호성(ambiguity), 유목성(Nomadic), 결합성(Conjunctivity) 등 여덟 가지로 도출하고, 기존 도서관 사례분석을 통해 리좀형 도서관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결론적으로 리좀형 도서관은 생활권 내 근접화(Proximity)라는 입지적 특성과, 소규모 개인 공간화(Small private space)라는 공간구성상의 특성, 그리고 다기능 가변성(Multi-function and Flexibility)이라는 프로그램적 특성을 갖춘 도서관을 의미하며, 기존의 공공도서관 못지 않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리좀형 도서관이 점조직 형태로 보다 균질하게 생활권역 깊숙이 배치될 수 있는 도서관 체계를 갖는다. COVID-19 팬데믹 이후의 뉴노멀 시대에 리좀형 도서관의 특성이 적극 검토되고 반영된다면, 도서관 공간 제공 패러다임에 있어서의 큰 혁신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the transition to the Rhizome-type Library in post COVID-19 era. The cases
and theories were consider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hizome-type Spatial Structure.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Rhizome-type Library has De-centrality, Independence, Diversity and partly De-hierarchicality, De-territorialisation, Nomadic, Ambiguity,
Conjun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hizome-type Library will be easy to access the neighborhood, which
will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users. Second, the Rhizome-type Library can be placed in very small places in the neighborhood and
provide variety of services and also personal space for reading, learning, and works. Third, the Rhizome-type Library has flexible and
changeable spatial forms and the form can be customized. And lastly, the Rhizome-type Library has the potential to evolve to include the
functions of other Public Service Facilities, so the Rhizome-type Library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large Public Service Facilities in
unexpected disaster situations, such as COVID-19. In conclusion, the Rhizome-type Library could be a way to change the paradigm of
library service and space in the post COVID-19 era.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논문] 도서관 건축에 있어서 공공영역 구성에 관한 고찰
김주성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13호 (200508)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최근 국내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김현오(Kim, Hyeon-Oh) ; 김용승(Kim, Yong-Se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6 No.12 (202012)
도서관 건축의 전이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배동식(Dongsig Ba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3 (201706)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