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일제강점기 주택의 응접실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eption Room of Hous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저자명 박채린(Park, Chaerin) ; 이경아(Lee, Kyung-Ah)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10 (2021-10)
페이지 시작페이지(95)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 역사
주제어 응접실; 서양식 주거 문화; 공적 공간; 과시적 공간; 완상용 공간 // Reception room; Western-style housing culture; Public space; Conspicuous space; Space for appreciation
요약1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가옥 응접실의 분석을 통해 한국에서 서양식 주거문화가 어떻게 수용되고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응접실은 바닥에 카펫이 깔려 있고, 벽에 커튼을 걸고 수입 벽지를 바르며, 서양식 가구와 벽난로가 있는 전형적인 서양식 공간이었다. 손님을 맞이하는 공용 공간일 뿐만 아니라 집주인의 과시용 공간이자 완상용 공간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라는 상황때문에 서양식 응접실이라 할지라도 다다미, 도코노마, 온돌 등 일본과 한국의 요소가 혼재되어 있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응접실은 크기가 작아지거나 다른 방과 결합되었을 뿐만 아니라 장식이 줄어들었고, 이제는 더 이상 한국에서 볼 수 없는 공간이 되었다.
요약2 This study examined how Western-style housing culture was accepted and changed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ception room of
hous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ception room was a typical Western-style space, with carpets on the floor, imported
wallpaper and curtains on the walls, Western-style furniture and a fireplace. It was made not only as a public space for welcoming guests,
but also as a conspicuous space and a space for appreciation of a house owner. However, due to the circumstance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apanese and Korean elements such as Dadami, Dokonoma and Ondol were mixed in the Western-style reception room. As time
passed, the size of the reception room became smaller or combined with other rooms, and the decorations decreased, and it is now a space
that can no longer be found in Korea.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온돌에 대한 인식변화와 온돌개량
강상훈(Kang Sang-Ho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11 (200611)
[논문] 일제강점기 근대도시의 도시공간구조와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김득수 ; 한동수 ; 김영재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8 n.3(통권 제28호) (200709)
일제강점기 관사의 주거사적 의미에 관한 연구
안성호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7 n.11 (200111)
[논문] 일제강점기 洋式建築構法 사용의 특징과 계획적 변화
주상훈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5(통권 84호) (201210)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지적원도를 통하여 본 서울의 옛 도시조직
이상구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405)
1920~30년대 경성부의 문화주택지개발에 대한 연구
이경아(Lee Kyung-Ah)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3 (200603)
1920년대 일본의 문화주택에 대한 고찰
이경아(Lee Kyung-Ah)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1 n.8 (200508)
[자료] 기념물과 사적지의 보존, 복원을 위한 국제헌장(베니스헌장) 1964
박소현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1(통권 56호) (200802)
개항기 서양식 건축의 유입과 건축표현 용어 변화에 관한 연구
서동천(Seo, Dong-Ch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30 n.6 (201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