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Untact 시대의 변화되는 트렌드를 위한 리조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atial composition for the changing trend of resort hotels in the Untact Era
저자명 박상진(Park, Sangjin) ; 이남규(Lee, Namgyu) ; 김 용 성(Kim, Yongseong)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6 No.07 (2021-10)
페이지 시작페이지(213) 총페이지(14)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리조트; 리조트 유형; Untact시대; New Normal; 공간구성 // Resort; Resort types; Untact Era; New Normal; Spatial composition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 위기 속 우리 사회의 대처는 사회적, 도시적, 건축적으로 다양한 방면의 변화를 가져다주었으며, 또 다른 형태 New normal 등장의 시발점이 되었다. 본연구는 Untact 시대의 변화되는 군중의 건축적 공간구성 관심요소와 공간을 사용하는 데 있어 심리적 안정감을 가져다줄 수 있는 새로운 요소 고찰을 통해 리조트 공간구성 유형들을 평가할 수 있는 연구 틀을 구성한다. 연구 틀을 기반으로 리조트 공간구성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리조트 공간구성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리조트의 공간구성 유형을 분류하였다. 건물의 규모, 건물의 배치, 시설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고층 일체형, 저층 일체형, 혼합형, 저층 결합형, 독채 독립형으로 총 5개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리조트 공간구성 평가를 위한 평가요소 도출은 현시점에서 변화된 건축전 관심요소를 반영한 항목들로써 1) 물리적ㆍ심리적 접근성, 2) 공간의 개방성 3) 감염에 대한 안전성, 4) 건축물의 위급상황 시 안전성, 5)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시하여 리조트 공간구성 평가를 시행한다. (결과) Untact 시대에 변화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요소들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공간구성을 분석한 결과 독채 독립형 > 저층 결합형 > 혼합형 > 일체형 순의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개방성, 심리적 접근성, 감염 안전성에서 높게 평가된 프라이빗한 독채 독립형 리조트를 중심으로 리조트 공간구성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또한 리조트의 객실 외 사용자들의 접촉밀도가 높은 로비, 부대시설 등의 공간들도 함께 제시한다. (결론) Untact 시대의 변화된 공간적 관심요소는 사용자 요구에 큰 영향을 끼치며 많은 제약이 뒤따르게 되었다. 리조트를 중심으로 변화될 공간구성 분석을 통해 앞으로 설계될 리조트 공간구성에 대해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변화된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리조트 공간구성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설계될 리조트 공간설계의 기초자료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Our society’s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led to various social, urban, and architectural changes, initiating the beginning of a “new normal.”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framework to assess the types of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To this e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new spatial components of the architecture of interest for the public in the “untact” era and new types of factors that can promote psychological comfort in using spaces. Based on the research framework,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and proposes their future directions. (Method) First,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types of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Considering various factors, such as building size, building arrangements, and facilities arrangements, the types were classified into high-rise integrated design, low-rise integrated design, composite design, low-rise combination design, and independent single house design. By considering the new architectural components of interest at present, the study also derived the following five items for asses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1) physical and psychological accessibility; 2) openness of the space; 3)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4) safety of the building in case of emergencies; and 5) convenience of users. (Results) After identifying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factors that can meet the new needs of resort hotel users in the “untact” era, independent single house design wa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followed by low-rise combination design, composite design, and integrated design, in that orde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 guideline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focusing on independent single house design, which was highly evaluated in terms of openness, psychological accessibility, and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Furthermore , spaces such as the lobby, and auxiliary facilities with high contact density of users outside the resort's rooms are also presented. (Conclusions) The new architectural components of interest for the public in the “untact” era greatly affected the users’ needs, resulting in some restrictions. Focusing on resort hotels, this study analyzed different spatial composition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ort hotel construction designs. It is hoped that the guideline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proposed in this study, which considers the new consumer demands in the post-COVID era,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to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국내 리조트 및 호텔 객실 수공간의 변화와 유형에 관한 연구
전소연(Jeon, Soyeon) ; 김수란(Kim, Sooran)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57호 (2017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국내 리조트 시설의 건축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엄상권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9 n.2 (2003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경사지를 활용한 리조트 호텔 건축계획 특성 연구
송삼금 ; 윤동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3권 1호 (202105)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
리조트 호텔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김용빈 ; 고경곡 ; 권창룡 ; 이용호 ; 임만택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610)
제3세대 도심형 복합 리조트 호텔의 프로그램 및 실내공간 분석에 관한 연구
조예령(Jo, Ye-Ryeong) ; 공순구(Kong, Soon-Ku)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0권 2호 (201810)
[특집] 코로나19 등 감염과 전염, 예방과 치료을 위한 건축적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