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문화공간에 나타난 재생디자인 공간적 특성 연구 -서울시 박물관·미술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generative Design in Cultural Space. - Focusing 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Museum project-
저자명 박세희(Park, Sehee) ; 윤재은(Yoon, Jaeeun)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6 No.07 (2021-10)
페이지 시작페이지(339)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문화공간; 재생디자인; 서울시문화공간; 서울시재생디자인; 박물관·미술관재생디자인 // Cultural Space; Regeneration Design; Cultural Space of Seoul; Regeneration Design of Seoul; Museum Regeneration Design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서울시는 ‘비전 2030, 문화시민도시 서울’을 목표로 시민의 행복한 삶과 삶을 위한 문화발전이라는 방향성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사업은 크게 개인, 공동체, 지역, 도시라는 범주로 나누어, 문화 주권, 문화 공생, 문화 재생, 문화 창조를 목표로 한다. 특히 여러 정책의 추진과제 중 문화사업은 문화재생의 범위 안에 속해 문화를 새롭게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 재생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문화예술 사업으로 진행했다. 이 중 ‘박물관·미술관 도시, 서울’은 서울시 곳곳에 방치된 유휴공간을 재생하여 문화공간으로 활용한다. 본 연구는 해당 문화공간을 파악하여, 각각의 사례들이 재생디자인의 범주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보존되며, 특성은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우선 문화예술 및 관련 유사 공간의 공간재생 및 디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고, 서울특별시에서 ’17년~’23년까지 진행하는 ‘박물관·미술관 도시, 서울’ 프로젝트의 14개 문화시설 개관 사업 중 재생디자인에 해당하는 문화공간을 사례 연구의 대상으로 한다. 서울시가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사업은 연구자 본인이 직접 방문 또는 사업부서 문의를 통해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서울시 도시재생사업 중 문화공간 개관 사업의 특성을 분석하여 서울시 문화공간에 나타난 재생사업 체계적 유형을 도시 생활·문화 재생형, 콘텐츠 개발 및 특화형, 역사 보존형, 문화·예술 영유형 이렇게 네 가지로 분류하여 각 사례에 나타난 재생디자인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재생공간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면, 모두 유휴지에 새로운 용도를 부여하는 부활형 공간 활용을 하고 있으며, 되도록 원형보존을 목표로 하나, 안전도나 사업의 특성에 따라 구조적으로 원형보존 및 부분 개조하였다. 사업 규모에 따라 신관을 증축하여 신구건물을 연결한 사례도 있었으나, 대부분 건축물은 증축하지 않았다. 재생디자인의 특성은 보존성, 활용성이 기본으로 나타나되, 앞으로의 공간 활용성이나, 사업특징에 따라 역사성, 예술성, 사회·문화성, 장소성, 참여성, 연계성, 경관성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결론) 이미 개관한 건축물뿐만 아니라, 앞으로 개관을 앞둔 건물 역시 서울시가 추구하는 도시재생의 목표에 따라 진행하되, 공간과 콘텐츠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향성을 추구하여 지속 가능한 문화 재생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promoting a cultural development project for citizens’ lives and happiness levels under the "Vision 2030, Cultural Citizen City Seoul." This project is largely divided into categories of individuals, communities, regions, and cities, and aims to achieve cultural sovereignty, cultural symbiosis,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creation.
In particular, this cultural and artistic project focused on regenerating culture, rather than creating a new culture within the context of the city’s cultural heritage. Among the project’s initiatives, "Museum, Art Museum City, Seoul" aimed to regenerate abandoned places across Seoul by transforming them into cultural spaces. This study identifies such cultural spaces and examines how each case is preserved under the banner of regenerative design. (Method) To this end, a theoretical review was conducted on the regeneration and design of cultural and artistic spaces, with a focus on the 14 cultural facility openings that happened in Seoul. The project was condu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involved the researcher of this paper through inquiries from the relevant department.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ystematic types of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cultural space of Seoul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urban life and culture regeneration; content development and specialization; historical preservation; and culture and art. Following thi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on design were analyzed for each case. All of them utilized resurrection-type spaces that gave new use to abandoned areas, while still preserving their original form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they were structurally preserved and partial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afety level 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ject. In some cases, new and old buildings were connected by expanding new building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ject. However, most of the buildings were not expanded. The characteristics of regenerative design are based on conservation and usability, but historical, artistic, social and cultural, place, participation, connection, and landscape appear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future space utilization and business characteristics. (Conclusions) In accordance with the goals of urban regeneration pursu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is research considered not only buildings that have already been opened, but also buildings that are about to be opened. In addition, this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as a sustainable cultural reproduction space by harmonizing both the space itself and its content.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근대 건축의 가치를 반영한 리노베이션과 보존에 관한 연구
최상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3 n.1(통권 102호) (2014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미술관 전시공간에 사용되는 공간유형
백용운(Baek Young-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전시프로그램을 고려한 우리나라 박물관과 미술관의 스페이스 프로그램 비교 연구
서유석(Sea You-S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10 (200410)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