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커뮤니케이션 증진을 위한 최근 오피스의 공간특성 추이 변화 / Changes in Office Configuration for a Communicative Environment
저자명 이소영(Lee, So Young) ; 이명아(Lee, Myung-A)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11 (2021-11)
페이지 시작페이지(163) 총페이지(11)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오피스; 공간배치 형태; 시각적 가시화 프로그램; 커뮤니케이션; 업무공간 // Office; Space Configuration; VGA; Communication; Workplace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하는 최근 오피스 내의 업무공간 형태를 가시성 그래프 분석(VGA)을 이용하여 업무환경의 공간구조와 시지각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 변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시계열적으로 선정된 사례 그룹을 대상으로 공간구성 현황 및 면적비율 등의 공간구성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공간구조의 시지각적 특성 분석을 위해 VGA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정리하면, 첫째,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하는 오피스 공간사례에서 위상 중심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커뮤니티공간의 역할 및 위상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접근성이 높은 중심공간과 그렇지 않은 주변 공간의 위상 차이가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커뮤니케이션 증진을 위하여 단순한 시각적 개방성보다 시각적 조우 이후에 후속적으로 실질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넷째, 커뮤니케이션 증진을 위해서 사용자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지원할 수 있도록 공간적 선택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약2 Due to rapid changes in the technology and global business markets and environments, work organizations must deal with uncertainty, and
seek out more creative and innovative solutions to be competitive. Workplace needs to support knowledge workers to communicate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in order to increase collabo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office
configuration to support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in terms of openness and visual access, using visual integration and connectivity.
For this study, comparative cases were collected based on time periods. One group ranges from 2016 to 2020 (12 cases), and the other is
from 2006 to 2010 (6 cases). Spatial relation between each functional area were examined. Visual integration and mean depth were conducted
using the depthMapX program, Visibility Graph Analysis including connectivity in each functional area within offices, and Visual Isovist in
entry and community spaces. The results showed apparent changes in office configurations: older offices have more open spaces in individual
workstation areas, which are commonly found in open plan offices. The newer office cases have more community areas, which are more
frequently nodes and located within the main functional areas of whole office spaces. In the newer office cases, which are concerned with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ommunity spaces are more connected with other office areas, and less openness in private individual
workstations is commonly found.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아모레퍼시픽 사옥 설계사례
최도석 - 설비저널(대한설비공학회지) : Vol.47 No.12 (201812)
공유오피스 스페이스프로그램에 관한 기초적 연구
박미홍; 임호균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7호 (201908)
자율적 오피스의 업무환경별 조닝(Zoning) 방안 연구
임도형(Dohyeong Lim) ; 이재규(Jae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3 No.01 (201802)
시대적 변화에 따른 업무공간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윤은경 ; 김형우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46호 (201405)
공유오피스의 커뮤니티 중심 공간 구성 특성
이혜수(Lee, hye-su) ; 남경숙(Nam, Kyung-Sook)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7 No.1(통권 126호) (201802)
커뮤니케이션 증진을 위한 공유오피스의 공간특성 분석
이소영(Lee, So-Young) ; 김아론(Kim, Aro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30 No.3(통권 146호) (20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