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1910~70년대 한국 주택화장실 정착의 과정 / The Settlement of Korean Residential Bathroom in the 1910~1970s
저자명 송시영(Song, See-Young) ; 서현(Seo, Hyu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11 (2021-11)
페이지 시작페이지(187)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한국 주택화장실; 욕실; 시기별 변화; 변화요인; 특성 // Korean residential Bathroom; Toilet; Change over time; change factor; characteristic
요약1 한국의 주택화장실은 1910~70년대를 통해 서양식 통합형, 비외기 내부실 그리고 습식공간으로 보편화되었다. 70년대 이후 부가적인 구성의 변화와 설비, 재료의 개선이 있었지만, 기본구성은 큰 변화를 겪지 않고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1970년대까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의 상세한 연구는 70년대 이후 현재까지 약 50여 년간 기본구성의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는 한국 주택화장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 주택화장실에 근대적인 변화가 시작된 일제강점기부터 현재와 같은 구성으로 자리 잡은 1970년대까지의 정착과정을 도면수집에 근거해서 공간적으로 분석하고, 변화의 요인과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일제강점기(1910~1945)와 해방 후 주택혼재기(1945~70), 아파트정착기(1970년대)로 시기를 구분하여 주택평면도를 수집하고 변화를 분석했다. 단순히 서양문화의 도입으로 인식되어온 한국 주택 화장실의 변화과정은 그리 단순하지 않았다. 일본식에 한국식 그리고 서양식이 겹쳐지고, 주택의 변화과정에 부응하면서, 가능한 기술의 범위 안에서, 한국인의 생활문화를 담아온 과정이 있었다. 앞으로도 주택화장실은 기본구성, 부가구성, 설비, 재료 등이 개선되면서 변화를 겪을 것이다. 그 변화의 바탕에 한국 주택화장실의 역사와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요약2 Korean residential bathrooms were established as windowless indoor rooms, wet-spaces, and Western-style integrated types throughout 1910s
to 1970s. There have been changes in additional composition and improvements in facilities and materials, but the basic compositions has
been maintained for a long time. In order to understand such Korean residential bathrooms, a specific research on the settlement process up
to the 1970s is necessa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Korean residential bathrooms by analyzing the process of
changes from Japanese colonial era which was the beginning of the change, to the 1970s when the basic composition was established. The
periods are divided into Japanese colonial era(1910?45), the Housing-mix era after liberation(1945?70), and the Apartment settlement
era(1970s). The housing plan drawings from each period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changes. Due to the influence of Japan, toilets were
included in the main building and we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after liberation, separation was simplified and the space
became wet-space by showing Korean’s traditional habits. And, with the development of apartments and technical support, a basic bathroom
composition that combines Korean-style wet-spaces and Western-style integrated-room types has been established.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도시의 회복 탄력성을 위한 소통적 시설의 재발견
한상우(Han, Sang-Woo) ; 백진(Baek, 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3 (202103)
묘지 건축을 통한 산 자와 죽은 자 사이의 만남의 방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기세호(Kee, Se-Ho) ; 백진(Baek, 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6 (202106)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일제강점기 주택의 응접실에 관한 연구
박채린(Park, Chaerin) ; 이경아(Lee, Kyung-Ah)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10 (202110)
국내 다가구·다세대주택에 적용된 가로 접점공간의 계획적 특성
김현주(Kim, Hyun-Ju)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1 (202101)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개념으로서 기능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단지 주출입구에 표현된 아파트의 사회적 인식 변화 연구
박상호(Park, Sang-Ho) ;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6 (202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