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동주택 발코니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Balcony Space in Apartment House
저자명 심상일(Sim, Sang-il) ; 박미진(Park, Mi-jin)
발행사 한국주거환경학회
수록사항 한국주거환경학회 논문집 <주거환경>, Vol.19 No.2(통권 제52호) (2021-06)
페이지 시작페이지(187) 총페이지(10)
ISSN 17380316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공동주택; 전용면적; 발코니확장 // Apartment House; Exclusive Area; Balcony Expansion
요약1 우리나라의 주거문화는 근대화를 기점으로 과거의 전통적인 주거 양식이 변화하며 아파트라는 집합주거형식의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공동주택은 크게 개인적인 공간과 가족구성원 전체를 위한 공용공간으로 구성 되어있으며 이는 법적인 제한을 기준으로 사회적인 요구에 대응하며 거주자의 편의와 특성을 고려하여 점차 세분화되고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하지만 각 실 고유의 기능이 편리하게 특화되고 다양해지는 반면 초고층 공동주택이 늘어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도 유일하게 외부공간과의 완충 역할을 하는 발코니의 기능은 오히려 퇴보되어 오로지 전용공간 확장을 위한 서비스면적으로만 자리매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공동주택 전용 면적당 발코니 공간의 비율과 발코니 확장 비율은 일정한 기준이 없이 건설사의 평면계획에 의하여 정해지다보니 발코니 확장의 여부와 관계없이 기본형과 확장형 모두가 기능적으로 활용도가 저하되고 피난 및 안전에 관한 필수적인 요소들은 오히려 사용자의 편의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변모 하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2005년 12월 기존의 불법적으로 시행해 오던 발코니 공간 확장에 대한 합법화 이후에 확장을 전제로 하는 일률적인 건축계획으로 도시미관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주거형태인 공동주택에서 본래의 기능이 퇴색되고 있는 발코니 공간에 관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전용면적 비율에 따른 발코니 면적 제공과 발코니 확장 면적비율을 제한하여 공동주택 발코니의 기능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요약2 Starting with modernization, Korea's residential culture has been changed the traditional residential style of the past and developed around apartment houses in the form of collective housing. Apartment houses are largely composed of private spaces and public spaces for all family members, which respond to social needs based on legal restrictions and have been gradually subdivided and varied considering the convenience and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However, at a time when the number of high-rise apartments is increasing, the function of balconies, which serve as buffers with external spaces, has been regressed and established only as a space to expand the service area.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balcony space per apartment area and balcony expansion ratio are set by the contractor's plan without certain rules, making both basic and expandable functionally underutilized and essential elements of evacuation and safety rather hinder residents' convenience. Policy-wise, the unitary construction plan, which presupposes expansion after legalization of the existing illegal balcony space expansion in December 2005, has hindered the development of urban beauty. In this study, we will identify and analyze problems with balcony space, which is fading in apartment houses, a representative residential type of modern society, to present the ratio of balcony area per dedicated area and balcony expansion area ratio, and plan for sustainable revitalization.
소장처 한국주거환경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한 주거용 건축물 개방형 발코니 조성 방안
조상규;김영현;남성우;김신성 - AURI BRIEF : No. 225 (202101)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공간인식 변화에 따른 공동주택 발코니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정준우(Jung, Junwoo) ; 서동연(Seo, Dongy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7 No.05 (202208)
공동주택 사적 외부공간의 계획적 특성
김현주(Kim, Hyun-Ju)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6 No.02 (202002)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한 주거용 건축물 외부 발코니 활성화 방안
조상규 ; 김영현 ; 남성우 ; 김신성 - 연구보고서(정책) : 2020 No.06 (202012)
공동주택 외부공간과 커뮤니티 활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형언 ; 이동훈 ; 손동욱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1(통권 제61호) (2014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