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헤르조그와 드 뫼롱 건축의 복합적 지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mplex Perception of Architecture by Herzog and de Meuron
저자명 박미예(Park, Mi Ye)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1 (2022-01)
페이지 시작페이지(109)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미니멀 아트; 팝 아트; 즉물적 오브제의 재료성; 표면적 이미지; 복합적 지각 작용 // Minimal Art; Pop Art; Materiality of Literal Object; Image of Screen; Complex Perception
요약1 헤르조그와 드 뫼롱은 1980년대의 해체주의 건축과 포스트모던 건축에 반하여 반형태주의적 입장에서 단순한 형태와 표면적 이미지에 관심했다. 이들은 또한 장르 간의 경계를 인정하면서도 자신들의 건축에서 미술의 영향력을 논했는데, 반형태주의와 표면적 이미지에 대한 관심은 각각 1960년대 성행한 미니멀 아트 그리고 팝 아트와 견주어진다. 미니멀 아트는 무관심한 형태를 통해 부각되는 재료성과 현상학적 지각을 추구했다. 덧붙여 시간의 변화를 수용하는 과정인 것으로 재료를 취급했다는 점에서 유럽의 요셉 보이스의 영향력을 함께 논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건축의 입면은 팝 아트의 스크린과 견주어진다. 팝 아트는 지시적 깊이가 없는 유희적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부유하는 기호로써 스크린을 사용한다. 할 포스터는 헤르조그와 드 뫼롱의 건축에서 현상학적인 것이 팝적인 것으로 붕괴되는 현상이 관찰된다고 논했다. 개별 미술사조인 미니멀 아트와 팝 아트의 특징이 이들의 건축에서 복합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은 주목할만하며, 본 연구는 미니멀과 팝적인 변증법이 헤르조그와 드 뫼롱의 건축에서 다음의 세 가지의 경우에 관찰됨을 논하였다. 첫째, 물성의 지각을 교란하여 재료의 표면을 이미지로 만드는 경우이다. 미니멀 아트는 재료와 구조를 드러내는 반면, 헤르조그와 드 뫼롱의 건축이 표면으로 지각되어 팝적 스크린과 견줄 수 있는 이유는 재료의 중량감이나 구조적 속성을 감추거나 왜곡시키기 때문이다. 둘째, 건축의 즉물적 실체와 팝적 이미지를 병치시켜 놓음으로 물질과 비물질의 양가적 지각을 유발하는 경우이다. 셋째, 미니멀한 형태는 평평하고 넓은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여기에서 패턴의 반복 나열은 팝적인 효과를 일으킨다. 이러한 특징들은 헤르조그와 드 뫼롱이 통상적 재료성을 재해석하거나 오브제와 스크린을 병치하는 의도적인 전략에 기인하나, 한편으로 건축이라는 특이성으로 인해 유발된다. 화이트큐브라는 한정된 환경과 달리 건축은 장소의 시공간의 맥락을 수용하며 신체가 오브제를 지각하는 범주 역시 광범위하다. 가령 시간에 따른 조도의 변화에 따라 오브제에서 팝적 이미지로 전환된다. 신체가 건축에서 멀어짐에 따라 이미지에서 오브제로 지각이 전환되기도 한다. 포스터는 이를 “현상학적 것의 팝적 붕괴”라는 부정적 뉘앙스를 사용하였지만, 건축적 조건에서는 오히려 “현상학적인 것의 팝적 전환” 혹은 “팝적인 것의 현상학적인 전환”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갖는다.
요약2 Herzog and de Meuron discussed the ways that fine art influenced their architecture; they both acknowledged generic boundaries while
emphasizing their interest in anti-formalism and superficial images. They also compared their work to the Minimal Art and Pop Art movements
that prevailed in the 1960s. In Minimal Art, artists worked with materiality and phenomenological perception. Additionally, Joseph Beuys’s
influence on Herzog and de Meuron is apparent in the way they treated materials as a process of accommodating natural changes over time. One
can also rightly compare the facades of Herzog and de Meuron’s buildings to Pop Art screens. In Pop Art, the screen acts as a floating sign by
repeating an image that has no referential depth. According to Hal Foster, one observes the Pop collapse of the phenomenological into the
imaginary in Herzog and de Meuron’s architecture. Notably,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rt movements appear in a complex way in their
architecture. This study explores three ways in which one can observe Minimal and Pop dialectics. Regarding their architectural approach, it
ensures that a material’s surface reflects an image by disturbing one’s perception of its physical properties of hiding or distorting the materials’
weight or structural properties, rendering a screen-like image. By juxtaposing material substances and the pop image, their architecture encourages
an ambivalent perception between materiality and immateriality. Lastly, the minimal forms they employ create its own kind of flat wide screen,
upon which they place repeated patterns. Such characteristics are the result of Herzog and de Meuron’s strategy to reinterpret conventional
materiality and juxtapose objects and images. These results were based on the specificity of the architectural conditions. As one moves away from
an object, one’s perception of the building shifts from interpreting the object as an image to a physical object. In describing this phenomenon,
Foster used a negative nuanced phrase: “the pop collapse of the phenomenological.” However, when recast into architectural conditions, one can
interpret the same phenomenon as “a pop transform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thing” or as “a phenomenological transformation of the pop.”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헤르조그 & 드 뫼롱 건축에서 나타나는 `통합적` 표면에 관한 연구
김희범(Kim, Hee-Bum) ; 김광현(Kim, Kwang-Hyun)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6 No.2 (201610)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헤르조그와 드 뫼론(Herzog & de Meuron)의 건축언어에 관한 연구
신정화 ; 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3 n.3(통권 44호) (2004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현상학이 건축이론에 미친 영향과 현상학적 건축설계 방법론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광배(Kim Kwang-B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12 (200712)
헤르조그와 데뮤론의 건축공간에서 나타나는 텍토닉의 개념과 표현방법의 특성에 관한 연구
송윤희 ; 박찬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13권 2호 (201110)
발레리오 올지아티의 비참조적 건축에 관한 연구
마승범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73호 (20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