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제주 주거용 테시폰의 실태와 공간구성 변용 과정에 관한 연구 / A Chronological Study on the Ctesiphon Residential Houses on Jeju Island
저자명 이용규(Yi, Yong-Kyu)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2 (2022-02)
페이지 시작페이지(53) 총페이지(10)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제주; 테시폰(테쉬폰); 주거; 성이시돌목장; 개척농가 // Jeju; Ctesiphon; housing; St. Isidore Ranch; Pioneering farmhouse
요약1 현수(Catenary) 아치 형틀 비계 위에 섬유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위에 철근 없이 시멘트 모르타르를 수차례 도포 해 형틀 사이의 자연스러운 처짐(波谷)을 만들어 절판 구조를 완성하는 구법을 테시폰 구법이라고 한다. 현재 제주 테시폰 구법 건축물의 보전과 계승의 필요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본 연구는 제주 주거용 테시폰에 주목해 그 실태와 구법적 진화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관련 문헌 고찰과 과거 항공사진 분석을 통해 주거용 테시폰의 분포 위치를 특정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진의 현장 조사를 통해 현존 여부와 물리적 특성 등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과거 주거용 테시폰 모습이 기록되어 있는 사진 및 영상자료를 입수해 분석하고, 거주자 등 관련자 인터뷰 조사를 통해 주거용 테시폰의 유형과 시기별 구법적 특성 변화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첫째, 주거용 테시폰의 실태와 분포 특성을 밝힐 수 있었다. 둘째, 주거용 테시폰의 유형과 발전과정을 밝힐 수 있었다. 셋째, 주거용 테시폰 구법의 변용 과정을 밝힐 수 있었다.
요약2 Historic preservation efforts are needed to protect the remaining Ctesiphon buildings located on Jeju Islan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pace programming involved and the progression of construction methods used on Ctesiphon residential buildings. Old aerial photographs
and an on-site survey helped locate and determine if a Ctesiphon building still existed there. Further analysis of old images revealed
enclosure characteristic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former and current Ctesiphon residents to understand the built environment of its
indoor space. As of 2020, only 37 Ctesiphon system buildings are remaining on Jeju Island. They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f floor
plans: a parallel layout, a symmetry layout, a single house with a chimney on the living space side, and a single house with a chimney on
the warehouse space side. During an earlier period, buildings had one layer of cladding as an enclosure. Eventually, double cladding was
used to combat condensation and provide insulation to it. Over time, improvements on floor plans and technological advance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tesiphon system houses and in adapting to the local culture of Jeju Island.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제주 주거용 테쉬폰의 기술적 변용에 관한 연구
이용규(Yi, Yong-Kyu) ; 최호석(Choi, Ho-Suk) ; 오성훈(Oh, Sung-Ho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6 No.08 (202008)
1910~70년대 한국 주택화장실 정착의 과정
송시영(Song, See-Young) ;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11 (202111)
도시재생을 위한 컬처노믹스적 접근에 관한 연구
김인선(Kim In-Seon) ; 김영실(Kim Young-Sil) ; 서정훈(Seo Jeong-Hoon) ; 최왕돈(Choi Wang-D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한국의 건축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적 연구
전봉희(Jeon Bong-Hee) ; 우동선(Woo Don-Son) ; 이우종(Lee Woo-J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3 (200403)
일제강점기 주택의 응접실에 관한 연구
박채린(Park, Chaerin) ; 이경아(Lee, Kyung-Ah)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10 (202110)
1950-60년대 한국건축의 기술적 담론에 관한 연구
정인하(Jung In-H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1 (200601)
묘지 건축을 통한 산 자와 죽은 자 사이의 만남의 방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기세호(Kee, Se-Ho) ; 백진(Baek, 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6 (202106)
1930년대 말 서울의 양관에 대한 연구
허유진(Huh, Yoo-Jin) ; 우동선(WooDon-S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7 (201307)
건축가 아카이브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조준배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6 (20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