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실내공간의 색채와 천장높이가 사용자의 회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뇌파(EEG) 분석 / An EEG Analysis of the Effects of Color and Ceiling Height on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of Users
저자명 김시은(Kim, Sieun) ; 하미경(Ha, Mikyoung)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2 (2022-02)
페이지 시작페이지(63) 총페이지(12)
ISSN 2733-6247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뇌파; 신경건축; 회복감; 색채; 천장높이; 교육시설; 공용공간 // EEG(electroencephalogram); Neuroarchitecture; Perceived Restorativeness; Color; Ceiling Height; Educational Facility; Common Space
요약1 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만연한 현대사회에서 정서적 회복에 기여할 수 있는 디자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서 모티프를 얻었다. 교육공간과 같은 보통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공공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회복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는 자연요소를 이용하는 것과 달리 색채와 천장높이의 실내디자인 요소를 이용한 회복디자인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독창성이 있다. 본 연구는 환경심리와 신경건축을 융합한 관점에서 실내공간의 색채와 천장높이의 회복 효과를 설문조사와 뇌파 측정을 통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총 50명의 참여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색채요인에 천장높이(낮고 높음)요인을 결합한 3D 이미지 감상 시 뇌파와 주관적 회복감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회복환경 색채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에 따라 회복에 긍정적 영향의 색채환경인 저채도 고명도의 부드러운 톤과 부정적 영향의 색채환경인 고채도 중명도의 선명한 톤으로 그룹 A와 그룹 B로 나누었다. 그 결과 그룹 A는 그룹 B와 달리 뇌파와 회복감 평가에서 모두 색채와 천장높이에 따른 회복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난색보다는 한색에서 상대 알파파는 높고 상대 베타파는 낮은 이완상태를 보였으며, 저채도 고명도의 한색이 고채도 중명도의 한색보다 회복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모든 조건에서 천장이 높은 공간이 낮은 공간보다 상대 알파파는 높고 상대 베타파는 낮은 이완상태와 더 높은 주관적 회복감을 보였으며, 천장높이는 색채보다 더 우선적으로 작용하는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육시설 공용공간에서 저채도 고명도의 한색과 높은 천장의 공간 환경은 회복과 휴식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높은 천장의 공간 중 중명도 고채도의 난색은 오히려 상태 베타파가 높게 나타나 각성반응이 나타났다. 이는 뇌파 결과에서만 나타난 반응으로 공간평가에서 사용자의 생리적 반응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요약2 Intentionally involving color and factoring ceiling heights in the design aspect of public spaces such as educational facilities, carries with
it a potential to contribute to the emotional recovery of ordinary individuals. This study analyzes the restorative effect of color and ceiling
height in 50 participants through EEG measuremen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ere a quasi-experiment was performed to measure
relative alpha and beta waves and perceived restorativeness (PR) while viewing four 3D images of indoor lounge spaces on college campuses.
Group A was assigned soft tones with low saturation and high brightness, most associated with having a positive effect on recovery. Group
B was assigned vivid tones with high saturation and medium brightness, most associated with having a negative effect on recovery. The
results indicated that group A experienced a restorative effect in both EEG and PR unlike group B. Higher relative alpha and lower relative
beta were observed in cool colors over warm ones, and noticeable in spaces with high ceilings rather than with low ones, indicating a
relaxed state with higher restorativeness. Based o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eiling height takes precedence over color; spaces with
high ceilings and cool colors are helpful for recovery and relaxation purposes. In addition, higher relative beta was observed in warm colors
with medium brightness and high saturation with a high ceiling, indicative of arousal. However, this response was restricted to EEG results,
making it necessary to consider the physiological response of users during spatial evaluation.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VR과 EEG를 이용한 천장 높이와 공간 체류 시간에 관한 연구
염상훈(Youm, Sang Hoon) ; 이전윤(Lee, Jun Yoon) ; 최유림(Choi, Yoo Rim)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2 (2021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우울증상 치유를 위한 실내 휴게공간 환경색채모델 연구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30 No.3(통권 146호) (202106)
가상현실을 활용한 공간에서의 뇌파 측정과 스트레스 변화량 분석
김선욱(Kim, Sun-Uk) ; 강세연(Kang, Se-Yeon) ; 지승열(Ji, Seung-Yeul) ; 전한종(Jun, Han-J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5 No.08 (201908)
실내공간 색채배색 및 조도변화에 따른 색채감정 평가
하지민(Ha, Ji-Min) ; 박수빈(Park, Soobee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3 No.10 (201710)
일본의 보찌보찌나가야 다세대공동주택의 유형학적 특성 연구
이연숙(Lee, Yeun-Sook) ; 전은정(Jun, Eun-Jung) ; 김민주(Kim, Min-Joo) ; 안소미(Ahn, So-Mi)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28 No.4 (201708)
노인주거계획을 위한 노인가구의 고령기단계에 관한 연구
조성희 ; 전은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0 n.5 (200910)
[특집] 신경건축학 연구와 익숙한 도전
황지은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8 n.09 (201409)
행동·감정체계 유형에 따른 전전두엽 알파파 비대칭 특성 및 실내공간 색채감정
하지민(Ha, Ji-Min) ; 박수빈(Park, Soobee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09 (20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