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주거기능 변화와 공간선호- 에코부머 세대를 위한 평면제안 - / Changes in Housing Function and Space Preference in the Post Covid Era - Plan Proposal for the Echo Boomer Generation -
저자명 이도윤(Doyun Lee) ; 권오정(Oh-Jung Kwon) ; 김진영(Jinyoung Kim)
발행사 한국주거학회
수록사항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33 No.2 (2022-04)
페이지 시작페이지(43) 총페이지(11)
ISSN 2234-3571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포스트 코로나; 에코부머 세대; 주거기능; 주거 공간 선호; 일상생활 행위; 평면 제안 // Post Covid; Housing Preference; Echo Boomer Generation; Housing Function; Daily Life Activity; Plan Proposal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에코부머 세대를 위한 뉴노멀 시대 주거기능의 변화와 주거공간 선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평면을 제안하는 것이다. 에코부머 세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일상생활행위 빈도의 변화를 파악해 주거기능의 변화를 파악하고, 주거공간 선호와 세대평면 선호를 조사해 평면을 제안했다. 연구 결과 뉴노멀 시대의 주거기능은 '쾌적성'이 가장 많이 증가했고, 주거공간 선호는 '개방 추구형'과 '레이어드 홈 선호형'이 가장 많았다. 이에 따라 뉴노멀 시대의 에코부머 세대를 위해 넓은 베란다, 기능에 따른 공간 분리, 입구의 바이러스 프리존, 편리한 배달을 위한 이동동선 등의 평면 요소를 담았다. 이러한 평면 요소를 포함하여 에코부머 세대 중 1인 가구, 자녀가 없는 부부, 자녀가 있는 부부를 위한 3개의 평면을 제안하였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floor plan by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housing function and preference of the living space in the post covid era for the echo-boomer generation. Through a survey of 300 echoboomer generation, the changes in the frequency of daily living activities after Covid 19 were identifi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housing function, and the preference of the living space and the floor plan were investigated to propose the floor plan. As a result of the study, ‘comfort’ increased the most in the housing function in the post covid era, and the ‘open-seeking type’ and ‘layered home preference type’ were the most frequent for the residential function preference. Accordingly, for the echo-boomer generation in the post covid era, floor plan elements such as a spacious veranda, division of space according to function, disinfection space at the entrance, and convenient movement lines for delivery were included. Including these floor plan elements, three floor plans were proposed for single-person households, couples without children, and couples with children among the echo-boomer generation.
소장처 한국주거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한 건축 계획적 대응 방안 연구
김민석(Kim, Mins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2 (202102)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거공간의 재구성
전권식(Chun, Kown-Sig);이명식(Lee, Myung-sik)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78호 (202205)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팬데믹 이후 공동주택의 건축계획적 접근 전략 연구
신두식(Shin, Doosik) ; 이명식(Lee, Myung-Sik) ; 유용현(Yu, Yong-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4 (202204)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학생들의 가구 선호에 관한 연구
조현경(Hyun-Kyung Jo) ; 서지은(Ji-Eun Seo)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32 No.1 (202102)
언택트(Untact) 시대 공동주택 단위세대 평면의 공간 사용 변화에 관한 연구 -2015년 이후 한국토지주택공사 84㎡ 단위세대 평면 사례를 중심으로-
임슬기(Lim, Seulgi) ; 김용성(Kim, Yongseong) ; 송석재(Song, Seokja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6 No.08 (202112)
[특집] 코로나19 등 감염과 전염, 예방과 치료을 위한 건축적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