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시 저층주거지역의 안전한 육아환경 조성을 위한 범죄예방 환경설계 연구 / A Study 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o Create a Safe Environment for Childcare in Urban Low-rise Residential Areas
저자명 이효창(Lee, Hyo-Chang) ; 하미경(Ha, Mi-Kyoung)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6 (2022-06)
페이지 시작페이지(99) 총페이지(10)
ISSN 2733-6247
주제분류 도시 / 계획및설계
주제어 범죄예방 환경설계; 육아환경; 저층주거지역 //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hildcare Environment; Low-rise Residential Area
요약1 도시 저층주거지역의 안전한 육아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아동의 범죄 및 범죄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물리적인 환경의 개선과 조절을 통해 범죄예방 환경설계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범죄예방 환경설계를 중심으로 저층주거 밀집지역의 환경 특성과 육아 및 아동의 활동지원을 고려하여 도시 저층주거지역의 안전한 육아환경 조성을 위한 범죄예방 환경 개선 방안의 제안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육아부모 366명 대상의 설문조사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저층주거지역의 안전한 육아환경 조성을 위해 아동의 안전한 보행, 놀이, 활동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아동보호구역의 확대 지정이 필요하다. 둘째, 도시 저층주거지역 놀이터에서 아동 활동의 자연감시, 금지행위자의 접근통제, 안전한 환경의 영역성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도시 저층주거지역은 안전한 육아환경 조성을 위해 아동의 이용 빈도가 높은 통행로, 골목길, 산책로 등의 보행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도시 저층주거지역의 안전한 육아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공공과 주민공동의 다양한 지역활동 강화가 필요하다.
요약2 It is necessary to apply crime prevention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improve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o relieve crime and fear of
crime by children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safe childcare environment for urban low-rise residential area. This study proposes a plan for
urban low-rise residential areas that factor such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o support childcare by offering improvement measures for a
safer space. A literature review was analyzed, and a survey conducted on 366 parent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expanding and designating various child protection zones in urban low-rise residential areas is essential to enable safer walking conditions,
safeguard playgrounds and create more activities for children. Improving the walking environment is needed considering these spaces are
frequently used by children. Safeguarding playgrounds to better monitor children’s activities, control access to criminals, and strengthen
territoriality around them would contribute to a more secure space. Lastly, strengthening various local activities for the public and its
residents would also significantly help to foster a safer environment in preventing crime towards children.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
주거지 생활도로 개선을 위한 보행환경 평가지표 연구
이현하(Lee, Hyeonha) ; 변나향(Byun, Nahya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7 (202207)
사회-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기숙사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 대학교 기숙사를 중심으로 -
황민혁; 전영훈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73호 (202102)
국내 다가구·다세대주택에 적용된 가로 접점공간의 계획적 특성
김현주(Kim, Hyun-Ju)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1 (202101)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