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공시설 디자인에 있어 디지털 트윈 적용 방안 / Digital Twin Application Plan in Public Facility Design
저자명 이양숙(Lee, Yangsook) ; 최익서(Choi, Ikse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7 No.01 (2022-02)
페이지 시작페이지(51)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디지털 트윈; 공공시설; 가상환경; 가상물리시스템; 확장현실 // Digital Twin; Public Facilities; Virtual Environment; Cyber Physical System; Extended Reality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디지털 기술로 인해 가상환경과 물리적 환경이 결합하면서 공간은 인식 가능한 환경으로 그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 19(COVID-19) 팬데믹(pandemic)이 우리 삶에 큰 변화를 가져오면서 예측 불가능한 위기와 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중요해졌다. 이는 공공디자인의 영역에도 영향을 미쳐 대면 중심의 디자인 재고와 불확실성에 대비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사용자 분석이 중요해지고 있다.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이하 DT)은 물리적 환경을 복제한 가상환경 모델로서 급변하는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공공시설 디자인에 있어서 DT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DT의 개념을 파악하고 성숙도 단계에 따라 유형화한다. 둘째, 국내외 제조를 비롯한 여러 분야의 DT 활용 현황에 대해 검토한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DT 성숙도 단계를 기반으로 하는 공공시설 디자인 단계를 도출하고, 마지막으로 공공시설 디자인을 위한 DT의 활용 방향을 제시한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DT의 활용은 공정상의 오류 감소, 안전 확보, 운영·관리의 효율성, 비용 절감, 고객 서비스 최적화, 실증 데이터 기반의 구체적·신속한 개별 서비스 구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문헌 및 사례 연구를 통해 기술 발달에 따른 DT 성숙도 단계와 그에 따른 공공시설 디자인의 단계를 도출하였다. 외형을 디지털로 복제하는 1단계는 물리적 환경 구축으로 제한되는 경우, 2단계는 부분적 자동제어가 가능한 수준, 3단계는 가상환경을 통한 시뮬레이션으로 현재 환경을 분석하고 디자인 결과를 예측하는 수준, 4단계는 딥러닝을 통한 확장현실(XR) 구축, 마지막 5단계는 XR을 제어하고 변경하는 수준으로 정리될 수 있다. 또한, 공공시설 DT의 운영방향을 공공 및 환경가치 기반, 통합적이고 복합적인 DT 운영과 실증적 데이터 기반의 사용자 중심 디자인 실천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과 기대효과는 첫째, 공공시설을 위한 DT 구축 시 시설의 가치 기준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둘째, DT 네트워킹과 복합적인 활용으로 지역별 특성에 맞는 공간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셋째, 여러 가지 복잡한 사회문제들을 객관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DT를 통해 예측함으로써 최적화된 환경 제시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공공시설의 DT 활용은 신속하고 유연하게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공공시설 디자인에 DT를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이해하고 그 기준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developments in digital technology, experiences are expanding as virtual and physical environments converge. Along with the developments in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the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significant changes to our lives. It has become important to come up with rapid and appropriate responses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unexpected crises. Accordingly, a more in-depth analysis of user needs based on face-to-face design reconsideration and objective data reflecting environmental chang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within public design. In this context, Digital Twin (DT) is a parallel virtual environment model that responds to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enables us to seek services that respond quickly to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DT in public facility design for the convenience and welfare of citizens. (Method) To conduct the research, first, the concept of DT was reviewed through a literature study,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urity stage. Second, the status of DT utiliza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manufacturing and infrastructure was reviewed. Third, based on this, the public facility design stage was derived according to the DT maturity stage, and finally, the direction for DT utilization in public facility design was presented. (Results) The stage of DT maturity according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stage of public facility design were derived. If the first stage of digitally replicating the appearance was limited to building a physical environment, the second stage was at a level where partial automatic control was possible. The third stage was the level of analyzing the current environment and predicting the design result with simulation through the virtual environment. The fourth stage included the construction of extended reality (XR) through deep learning. The last five stages can be organized into levels of controlling and changing XR.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organize the operational direction of public facility DT into public and environmental value-based, integrated, and complex DT operations, and user-centered design practices based on empirical data.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and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value standards of facilities when constructing DT for public facilities. Second, it is possible to create a space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DT networking and complex use. Third, it is possible to present an optimized environment by predicting various complex social problems using DTs based on objective data. Finally,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faster and more flexible customized services through the use of DTs in public facilities. This study shall help in understanding the standards and possibilities of DT applications in public facility design.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건축물 시설안전대응 통합관리체계 구축 필요성에 관한 연구
염상국(Yum, Sang-Guk) ; 박영준(Park, Young-Jun)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v.42 n.5 (202210)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시변화와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도시계획모델
조준혁(Jo, Joon Hyok) - 도시부동산연구 : Vol.9 No.3 (20181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수변공간 활성화를 위한 도시계획 및 설계방향
권영상 ; 조민선 - 연구보고서(기본) : 2010 n.5 (201012)
디지털 트윈 개념을 적용한 프로토타이핑 기반 디자인 프로세스: 기초연구
김진웅(Kim, Jin-Wooung); 김성아(Kim, Sung-Ah) - 한국BIM학회 논문집 : Vol.9 No.4 (201912)
건축물 범죄 안전 디자인 성능에 관한 연구
조영진(Cho, Young Jin) ; 김용국(Kim, Yong Gook) - 연구보고서(기본) : 2016 No.01 (201610)
디지털 트윈 실현을 위한 BIM 기술 활용 사례
최창호 ; 이민형 ; 이용하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ol.14 No.4 (202010)
가상현실을 활용한 공간에서의 뇌파 측정과 스트레스 변화량 분석
김선욱(Kim, Sun-Uk) ; 강세연(Kang, Se-Yeon) ; 지승열(Ji, Seung-Yeul) ; 전한종(Jun, Han-J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5 No.08 (201908)